인도도 화웨이·ZTE 배제?…5G 테스트 기업명단에서 제외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중국의 대표적인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와 ZTE가 미국, 호주에 이어 인도 시장에서도 배제될 위기에 놓였다. 중국 기업들이 정부를 위한 '사이버 스파이' 역할을 할 경우 국가안보가 위협을 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가고 있는 셈이다.15일(현지시간) 인도 언론은 인도 통신부가 화웨이와 ZTE를 5G 네트워크 시범 테스트 파트너 기업 명단에서 제외했다고 보도했다. 명단에는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시스코, 인도 통신회사들만 포함됐다.5G 네트워크 시범 테스트는 상용화 직전에 통신장비 공급업체들이 일부 거점 지역에 실제로 장비를 설치한 뒤 운용하는 작업을 말한다. 테스트에 참여한 기업들이 정부와 현지 통신회사로부터 신뢰를 얻을수 있기 때문에 명단에서 제외된 화웨이와 ZTE는 상당히 불리한 상황에서 향후 통신사들의 5G 장비 입찰에 참여할 수밖에 없게 되는 셈이다. 인도는 2020년까지 5G 네트워크를 본격 출범시킬 계획을 갖고 있다.인도 정부는 중국 기업을 테스트 명단에서 제외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지는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인도도 미국이나 호주처럼 중국 통신장비가 스파이 활동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중국 통신장비업체 배제는 앞서 미국, 호주에 이어 일본에서도 검토되고 있다. 아직 검토 초기 단계이고,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안은 없지만 일본 정부는 중국산을 포함한 수입 통신장비들을 통한 '사이버 스파이' 침투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규제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본의 한 정부 관료는 "그는 "일본 정부도 (미국, 호주 등) 다른 나라들이 중국산 통신장비업체에 내린 조치들을 인식하고 있다"며 "일본도 일본 사정에 맞는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설명했다.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