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FUTURE]김대현 토스랩 대표 '직장에선 '업무용 메신저' 써야죠'

개인용 메신저 업무활용 불편함 해소, '업무 대화+자료' 모두 자산化…국내 넘어 대만·일본 亞 진출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연인과 함께 찍은 프로필 사진에 과도한 관심을 보이는 직장 동료, 나가기 버튼 한 방에 사라져버리는 무수한 자료들….'모바일 메신저가 사적으로 뿐 아니라 업무용으로도 널리 쓰이면서 이런 '불편한 상황'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공사(公私)가 마구 뒤섞인 메신저 세계를 정확히 구분해주겠다고 나선 스타트업이 있어 반갑다. 실시간 협업 툴 '잔디(Jandi)'를 운영하는 토스랩이다.김대현 토스랩 대표(35)는 "사적 영역인 개인용 메신저로 업무하라는 것은 '네 차를 끌고 영업하라'는 것과 같다"며 "많은 이용자가 공감하고 있는 이 불편함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탄생한 서비스"라고 잔디를 소개했다.2015년 5월 첫 서비스를 시작한 잔디는 쉽게 표현하면 '업무용 메신저'다. 단순 '메시징'을 넘어 모든 기능이 업무용 소통에 최적화돼있다. 대표적 사례가 메신저 대화 내용의 귀속성을 '개인'이 아닌 '회사'에 두도록 한 것이다. 개인용 메신저와는 달리 잔디 애플리케이션(앱) 대화방은 중간에 합류해도 이전 대화 및 공유된 파일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즉 업무 도중에 투입된 팀원은 이전 대화를 훑어보는 것 만으로도 인수인계를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업무에서 빠지거나 퇴사한 인력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해당 대화방에 접근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김 대표는 "최근 몇년새 개인용 메신저가 급격히 업무에 활용되기 시작했는데, 애초에 소통 목적이 다른 탓에 업무 영역에서 각종 문제가 발생한다"며 "업무 목적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그 소통의 결과물인 대화 내용 및 공유파일 일체도 회사에 자산화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이 같은 기능은 김 대표가 직접 사회생활을 하며 겪은 경험과 고민이 담겨있다. 대기업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이어 초기 벤처기업 '티몬'으로 옮겨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팀장ㆍ실장ㆍ본부장 등 다양한 직책을 경험했다. 김 대표는 "특히 관리자가 됐을때 회사의 생각을 가감 없이 전파하는 데 물리적ㆍ시간적 한계를 느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직장인들이 개인용 메신저를 쓰고 있지만, 이 역시 문제가 많아 직접 서비스를 만들게 됐다"고 돌아봤다.잔디 앱은 누구에게나 열린 무료 서비스다. 다만 용량 및 이용자 수 등이 특정 기준을 넘어가면 유료버전으로 전환되는 '프리-미엄(Free+ premium)' 비즈니스 모델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으로부터 이용 문의가 이어지는 등 니즈가 확인되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에 데이터베이스를 두고 최상 보안을 유지한다. 김 대표는 "협업 효율성이나 각종 자료검색, 인수인계 기능 등 덕분에 연단위 계약고객 중 이탈률이 거의 없을 정도로 '락인(Lock-in)효과'가 크다"며 "올해는 국내를 넘어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IT부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