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태양광에너지 이용해 '아리수' 만든다

강북아리수정수센터 (사진=서울시 제공)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서울시는 2022년까지 아리수정수센터 등의 부지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해 서울 수돗물 아리수 생산에 소요되는 전력량의 37%인 182기가와트시(GWh)를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시는 2009년부터 아리수정수센터 등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해 올해 9월까지 1만5169킬로와트(㎾)(태양광발전설비 1만2002㎾, 지열냉난방시스템 2867㎾, 소수력발전설비 300㎾)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지난해 해당 설비를 통해 5000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18.7GWh의 전력을 생산해 8억원의 수익을 낸 바 있다.시는 원전하나 줄이기 시책의 일환으로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확대 설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계획에 따라 내년엔 구의아리수정수센터 주차장 등 10개소에 태양광 발전 설비가 설치된다. 시는 2022년까지 아리수정수센터 및 수도사업소 부지 34개소에 10메가와트(MW)규모의 태양광 발전 설비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또 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기후환경본부는 협업을 통해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 전기와 열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20MW 규모의 연료전지를 2019년까지 설치해 시의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아리수정수센터 등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추가 설치되면 기존 설비와 함께 2022년 이후부터 매년 182GWh 전력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3만8000t의 원유 수입 대체 효과가 있는 규모이고,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자체 사용할 경우 연간 37억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규모라고 시는 설명했다.윤준병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해 경영개선과 함께 에너지 보존 및 환경보호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