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논란의 사각지대 '교육공무직'

현장서 교육·행정실무 담당…낮은 급여·잡다한 업무 등 열악한 근무환경에도 무기계약직이란 이유로 외면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기간제 교사의 정규직 전환을 두고 교육계가 연일 시끄러운 가운데 교육 현장의 또 다른 '을(乙)'인 교육공무직이 외면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공무직은 학교의 교육실무와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직원으로서 과학실무사ㆍ전산실무사ㆍ교무행정사ㆍ교무실무사ㆍ조리사 등을 일컫는다. 일반 교육공무직 종사자들은 점심시간 제외 하루 8시간을 근무하고, 각종 수당을 포함해 월 150만원 수준의 급여를 받는다. 처음 계약직으로 선발되면 일정기간 경과 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하지만, 연차가 올라도 기본급은 변동이 없거나 경우에 따라 3만원 정도 오를 뿐이다. 방학 중에도 실제 근무하는 며칠 외에는 급여가 지급되지 않는다.이 같은 낮은 처우에도 교육공무직은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서울 소재 한 중학교에서 6년째 과학실무사로 일하고 있는 조모(33)씨는 "계약서에 '학교장이 원하는 업무를 해야 한다'고 적혀 있다"며 "업무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자질구레한 일을 다 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다른 서울 소재 중학교에서 사서업무를 하는 이모(32)씨는 "사서지만 국어선생님 업무까지 도맡아 하고 있다"며 "부당한 업무 지시라고 거부하면 '내년에 전환되지 못해서 일 그만둬도 되느냐'는 말을 듣는다"고 털어놨다.교육공무직의 열악한 처우가 기간제 교사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교육공무직이 무기계약직이기 때문이다. 방종옥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정책국장은 "교육공무직은 다른 비정규직과 달리 계약서를 매년 쓰지 않을 뿐이지 처우는 열악한 게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아이들이 학교에 다니며 비정규직이나 무기계약직이 정규직에 비해 낮은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될 수 있다"며 "무기계약직도 비정규직과 경중을 가리지 말고 관심가져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정준영 기자 labri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준영 기자 labri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