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육부 '대화 제안'에…의대협 "진실되지 않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교육부가 의과대학 학생 단체에 공개 대화를 제안했지만, 의대생 단체는 학생들의 요구를 정부가 전혀 수용하지 않고 있다며 대화를 거부했다.


교육부는 21일 40개 의대 학생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대화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교육부 '대화 제안'에…의대협 "진실되지 않아" 의대 증원에 반발해 전공의와 함께 병원을 떠났던 전임의들이 일부 복귀한 22일 서울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교육부가 의대협에 대화를 제안한 것은 지난 3월 11일 이후 약 2개월 만이다. 당시에는 의대협으로부터 답변받지 못해 대화가 성사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당시와 마찬가지로 의대협이 공식 연락처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여서 불가피하게 언론을 통해 대화를 제안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의대생들을 직접 만나 정부 정책에 대해 소상하게 얘기하면 많은 오해가 풀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며 의대생들에게 대화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의대협은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의대 증원 문제가 대정부 요구안 가운데 극히 일부임에도 학생들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의 전부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라며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가 보이는 대화 의지를 진실되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기존에 정부에 밝힌) 요구안에 대한 최소한의 수용도 없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대화를 요구하는 정부에 유감을 표한다"라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


교육계와 의료계에서는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면서 집단유급 가능성이 계속 높아지는 것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20일 기준으로 총 40개 의대 중 37개교가 수업을 재개했지만,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주호 부총리는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최악의 경우' 1학년이 2배가 되는 것, 6년 차(본과 4학년) 학생들의 국시 문제"라며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학생 본인들한테 어떤 피해가 가는지를 (학교에서 교수들과) 일대일 면담할 때 정확하게 알려주고 (수업 복귀를) 설득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심의가 이번 주 마무리되고 31일까지 개별 대학이 수시 모집 요강을 공고하면 입시 세부 계획은 되돌릴 수 없다고 강조하며 "입시는 (수험생에게) 충분히 준비할 시간적 여유와 정보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모집 요강 발표 이후) 변경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