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넌 사임 이후] 트럼프, 세제개혁·철강수입 제한 완화 추진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휴가를 마치고 백악관으로 돌아왔다.

[아시아경제 뉴욕 김근철 특파원]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여당인 공화당과의 관계를 복원하기 위해 세제 개혁에 치중하는 한편 강력한 철강제품 수입 제한 조치도 완화하기로 했다고 파이내셜 타임스(FT)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트럼프 정부 고위 관료들의 말을 인용, 이 같은 결정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을 둘러싼 몇 주간의 소동을 겪으면서 내려졌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극우 백인우월주의자들이 촉발한 폭력사태 이후 늑장 발언으로 물의를 빚던 중 지난 15일 "(백인 우월주의자와 반대 시위자) 양쪽 모두 책임이 있다"고 발언하며 엄청난 파문을 일으켰다. 인종차별주의를 두둔한 이 발언으로 상당수 공화당 의원과 당원들마저 트럼프 대통령에게 등을 돌렸고 대통령 직속의 조업자문위원단(AMC)과 전략정책포럼(SPF) 소속 기업인들도 줄줄이 탈퇴하는 등 내홍을 겪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정부 개국공신이자 최측근으로 불리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극우파 이념과 정책을 주입해온 스티브 배넌 백악관 수석전략가도 경질됐다. FT는 백악관과 트럼프 정부의 이 같은 변화 기조를 새롭게 발탁된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이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병대 4성 장군 출신으로 트럼프 정부 출범 당시 국토안보부 장관에 발탁됐던 켈리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백악관내 실권을 장악, 공화당과의 정책 공조 등을 통해 관계 복원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세제 개혁안은 공화당은 물론 지지자들의 지지를 신속하게 회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제 정책으로 여겨지며 적극 추진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대폭적인 법인세와 소득세 인하 공약을 통해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낸 바 있다. 철강제품 수입 제한 완화 기조도 공화당과의 관계 회복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무역확장법 232조를 내세워 국가안보를 위해 외국산 철강의 수입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지 조사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는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됐다.그러나 최근 미국 내 자동차 업체 등 철강 소비 업체들은 이로 인한 가격 인상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공화당 의원들을 통해 적극 로비를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철강수입 제한을 위한 전면조사와 무역확장법 232조 실행도 제동이 걸린 분위기다. 이는 백악관에서 축출된 배넌 전 수석전략가가 최근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 경제 전쟁을 하고 있다"고 발언했던 것과도 대비된다. 한편 FT는 백악관에 윌버 로스 상무부 장관,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대표 등 보호무역주의자들이 남아있어 미국의 보호무역 주의는 계속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 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