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내 통신지연 원인 '왜곡신호' 쉽게 찾아낸다

ETRI, 왜곡신호 측정장치 개발10㎝ 오차범위 내 발생지점 포착노후장비 수리·교체 신속해지고주파수 효율도 대폭 높일 수 있어

건물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된 통신선에서 일어나는 통신 왜곡신호의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건물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된 통신선에서 일어나는 통신 왜곡신호의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내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최근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건물 내 통신선을 다른 통신 사업자와 공유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하지만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신호가 하나의 통신선으로 전달되면 통신선과 통신선 사이를 연결하는 부품인 수동소자가 노후화된 경우 왜곡신호가 발생하게 된다.20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건물 내 노후화된 통신선에서 발생하는 왜곡신호 위치를 10cm의 오차 범위 내로 찾는 '고정밀 왜곡신호(PIMD)측정 장치'개발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왜곡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건물 내 모바일 통신서비스 접속 지연 현상과 각 층별 통신 중계기(AP)의 서비스 반경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ETRI 연구진은 "이번 개발한 특정장치가 건물 내 노후화된 통신선의 위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찾아,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해져 왜곡신호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기존 왜곡신호 측정 장치는 단일 주파수 대역에서만 동작하도록 만들어졌다. 이동통신 전 대역에서 발생하는 왜곡신호를 찾기 위해선 측정 장치를 주파수 대역별로 각각 제작해야 됨에 따라 비용도 많이 발생하고 정확도 또한 수m 수준에 머물렀다.이번에 ETRI가 개발한 '고정밀 왜곡신호(PIMD) 측정 장치'는 정확도가 기존 수m 수준에서 10㎝ 단위 수준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국내 이동통신망 전 대역에서 발생하는 왜곡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활용도 간편하다. 건물 네트워크 장비실(EPS)에서 측정 장치와 통신선 케이블을 연결하면 건물 전체 통신 왜곡신호의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장치는 건물 통신선 도면을 바로 입력, 저장, 불러오기 등이 가능한 기능도 갖추고 있다. 연구진은 건물 통신선을 관리하는 유지보수 업체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도 적극 반영했다. 측정 장치를 태블릿PC와 블루투스로 연동,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으며 애플리케이션도 개발 완료했다.

ETRI가 개발한 왜곡신호(PIMD) 측정장치<br />

최형도 ETRI 전파·위성연구본부 프로젝트 리더는 "급격히 증가하는 통신수요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주파수 효율 증대기술이 보다 빨리 적용되려면 각 건물 마다 왜곡되는 신호 발생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왜곡신호 측정 장치는 한정된 자원인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