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선정 특혜 파문]혼돈의 업계…구조조정·경쟁 완화 기대도

강도 높은 후속 조치 예상

지난해 10월 서울 동대문 두타면세점 D1층 화장품 매장 모습.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여파에 중국인 관광객들이 들지 않아 한산하다.(사진=아시아경제 DB) <br />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감사원 감사로 면세점 사업자 선정과 신규 특허 발급 과정의 문제가 드러나면서 업계 전체가 뒤숭숭하다. 검찰 수사 향방 등 불확실성이 크지만 현실에 맞는 구조조정과 경쟁 완화를 기대하는 시각도 있다.1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면세점업체들은 저마다 향후 상황에 대비해 비상 체제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감사원 감사 결과 발표와 이어지는 검찰 수사를 면세점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감사, 검찰 수사와 관계 없는 한 면세점업체 관계자는 "관련 업체별 피해를 넘어 면세 산업 전반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많이 안타깝다"며 "신중하게 당국·업계나 여론 동향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혼란이 어느 정도 잦아들면 결국 제도 개선 이슈가 부상하지 않겠느냐"며 "정부와 업체들 간 제도 개선 공감대가 형성되고 구체적인 방안을 구상하는 과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2015년 면세점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제기된 특혜 의혹과 지난해 면세점 사업자 추가 선정 방침 결정 과정 등에 대한 감사는 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야당 시절 요구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나온 이번 감사 결과에 대해 강도 높은 후속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현재 면세점이 매우 어려운 환경에 있다는 점도 변수다. 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여파에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해 매출이 뚝 떨어진 상황에서 일부 면세점들은 적자에 허덕이고 비상 경영에 돌입하기도 했다. 최근 1∼2년 새 급격히 늘어난 면세점 특허가 조정되는 흐름으로 접어들 여지가 많다고 업계는 관측한다. 박종대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검찰 수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면세 산업 경쟁 완화는 가속화할 듯하다"고 밝혔다. 검찰 수사와 관련해선 신규 면세점 허가 취소 여부가 관건이라고 박 연구원은 지적했다. 그는 "수사 결과 신규 면세점이 '로비 후 점수 조작'으로 특허를 받은 게 확인된다면 취소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롯데와 SK를 억지로 탈락시키는 가운데 '어부리지' 성격으로 사업권을 따낸 경우 취소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