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 신축 관련해 주민과 학생간의 갈등, 수년째 ‘제자리’학생들과 지역 사회가 공생할 수 있는 방안 마련해야
아시아경제 DB
대학 기숙사 신축이 인근 주민들의 반대로 지난 몇 년간 표류하면서 해당 주민들과 갈 곳 잃은 대학생간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달 8일, 성북구 안암동에 위치한 고려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기숙사 신축을 위한 탄원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날 기자회견에서 학생들은 “‘원룸푸어’ 대학생들을 위한 살 곳을 마련해 달라”는 촉구와 함께 “당연히 보장받아야 마땅한 학생들의 주거권이 이제는 보장돼야 한다”며 학생들의 지지를 당부했다. 이런 가운데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이음줄’은 지난 5월11일부터 보름간 기숙사 신축을 위한 탄원 운동을 진행해 학생들로부터 3000장이 넘는 탄원서를 받았다. 당초 탄원서는 기숙사 수용인원인 1100명인 것을 고려한 1천 1백 명을 목표로 진행했지만, 결과적으로 약 3배에 달하는 학생들의 탄원서를 받았다. 이는 신축 기숙사 건립을 향한 학생들의 높은 열망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고려대학교의 기숙사 수용률(전체 재학생 수 대비 기숙사 수용인원)은 10.4%로 총 학생 10명 중 1명만 기숙사에 들어갈 수 있다. 이런 문제로 고려대는 지난 2013년 말, 학교 부지 내에 1100명이 수용 가능한 ‘개운산 기숙사’ 건립을 추진하고 있었지만 성북구청과 인근 원룸 주인들의 반대로 4년간 지지부진해지고 있다.재학생인 원 모 학생은 “원룸 주인들이 기숙사 건립을 반대하는 것을 보면 집단 이기주의 같다”며 “특히 학교 주변 원룸은 오래되어 시설이 낙후된 곳이 많지만 그렇다고 값이 싼 것도 아니다. 학생들을 위해주진 못할망정 기숙사 반대라니 너무하다”며 하소연했다. 이 문제는 비단 고려대에만 국한되진 않는다. 한양대와 총신대 또한 기숙사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안을 마련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 소재 대학들의 기숙사 수용률은 평균 14%로 기숙사에 들어가지 못하는 학생들은 높은 등록금 부담에 비싼 주거비용까지 짊어지고 있어야 한다. 높아지는 기숙사 증설 필요성에 고려대와 한양대 학생들은 재학생들의 탄원서를 받아 서울시와 각 해당 구청에 제출하기도 했다. 이 같은 학생들의 기숙사 건립 촉구에 주민들의 반발은 만만치 않다. 주민들은 기숙사라는 거대 주거 형태가 자리하면 원룸 공실률이 크게 높아질 것이라 주장하며 지역 경제가 침체할 것이라 우려한다.생활관 건립 반대 대책 위원회는 “학가 근처 원룸들은 고령의 노인들이 하는 영세 원룸이 대부분”이라며 “기숙사가 들어오면 이들의 노후가 위협받는다”고 설명했다. 서울시와 각 구에선 이와 관련해 어느 편도 들어주기 난처한 상황이다. 학생들의 주거 공간을 마련한다는 학교 측의 입장과 생계권이 달린 주민들의 민원 모두 고려하고 있다며 기숙사 신축과 관련한 입장을 몇 년간 보류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숙사 건립에 따른 학생과 주민들의 갈등이 해결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미 홍익대, 경희대, 이화여대 등 서울 주요 대학들도 주민들과 소송까지 가는 등 갈등을 겪었지만, 주민들과 합의한 결과 마침내 기숙사 건립을 이뤄낼 수 있었다. 합의서를 보면 ‘학교-구청-주민이 원룸 공실률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기숙사 주차면을 저렴한 가격에 주민들에게 제공한다’ 등의 양측을 고려한 조항이 포함돼 있다. '청년들의 저렴하고 질 좋은 주거를 보장하기 위한 단체'인 민달팽이 유니온의 조현준 사무처장은 “원룸 주인들이 걱정하는 지역 경제의 침체와 관련해선 기숙사 신축에 여러 프랜차이즈가 입점해 이를 해결할 수 있고 또 주민들을 위한 공간을 기숙사 측에 마련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실제 세종대도 이 합의안이 통과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학생들의 주거권을 가지고 있는 학교 측과 각 해당 구에서 주민들과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지역사회와 학생 측 모두 공생하는 방법만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아시아경제 티잼 최희영 기자 vy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티잼 최희영 기자 v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