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디에스티로봇, 中 리드드레곤·디신통 등과 합작사 설립

중해지능장비제조유한공사 설립…25억원 투자해 지분 30% 취득 예정중국 파트너사와 BOE 등 현지 디스플레이업체 우선 공략[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디에스티로봇이 중국에 합작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산업·서비스용 로봇 전문업체 디에스티로봇이 중국 합작법인인 중해지능장비제조회사에 25억원(지분율 30%)을 출자한다고 5일 밝혔다.이번 합작법인는 5000위안(약 81억3000만원) 규모로 설립될 예정이다. 디에스티로봇의 3대주주이면서 코아로직의 대주주인 리드드레곤이 차이나오션인더스트리그룹(CHINA Ocean Industry Group)을 통해 지분 50%를 보유한다.이밖에 디에스티로봇의 최대주주이면서 중국 최대의 휴대폰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디신통이 10%, 심천 A증시 상장기업이며 국영기업인 세기중공업(Shenzhen Electrronics Group)이 10% 지분을 참여하면서 디에스티로봇의 중국 진출 파트너로 참여한다.이번 합작법인은 심천 보안구 복영가도에 설립될 예정이며 대표이사는 리밍 리드드레곤 회장이 맡는다.디에스티로봇 관계자는 "중국 합작법인 설립은 중국 현지 생산기반을 구축해 가격 과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고 브랜트 홍보와 유통세, 세관, 운송 등의 비용절감을 통한 이익극대화로 전 세계 로봇 시장 1위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회사는 이번 합작법인을 통해 디에스티로봇이 강점을 보유한 직교, 스카라, 진공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의 중국 BOE 등 매출 확대뿐 아니라 중국내 직접 공장 설립해 중국향 제품 개발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국내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 10조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 BOE도 8조원대 추가 투자를 결정하는 등 중국내 OLED관련 산업용 로봇 관련 공급 문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는 설명이다.이번 합작법인의 대표를 맡은 리밍 대표는 “회사의 자금 여력상 지금까지는 중국 수요 대응을 위한 케파 증설이 쉽지 않았고 중국 현지의 영업과 서비스 관련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아 중국 수요대응이 미진했다”며 “이번 합작 법인을 통해 신규 공장 설립이 마무리되면 중국의 산업용 로봇에 대한 발 빠른 대응이 기대된다”고 전했다.최명규 디에스티로봇 대표는 “중국 공급 제품군은 한국에 공급하는 제품보다 이익률이 2배 이상 높기 때문에 이익률 개선 효과가 기대된다”며 “중국 합작법인에 대해 매출 인식과 지분법 이익도 기대된다”고 말했다.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