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사망률 아직도 OECD 평균 2배

국민안전처, 올해 안전문화 정착 등 대책 마련 나서

교통사고. 아시아경제DB. 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최근들어 질병이 아닌 안전사고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사망자 수 중 비중이 선진국의 2배에 달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가 안전문화 정착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2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운수사고(교통사고 등), 자살, 익사 등 안전사고로 사망한 사람들의 숫자가 해마다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1년 3만2445명에서 2012년 3만1153명으로 줄었고, 2013년에도 3만1015명으로, 2014년에도 2만9349명으로, 지난해에는 2만8784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이는 자동차, 열차, 항공, 선박 등 운수사고가 감소한 것이 컸다. 운수사망자 수는 2011년 6316명에서 2012년 6502명으로 소폭 늘었지만, 2013년 6028명, 2014년 5700명, 2015년 5539명으로 계속 줄어들었다. 고의적 자해, 즉 자살자 숫자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자살자 수는 2011년 1만5906명에서 2012년 1만4160명, 2013년 1만4427명, 2014년 1만3836명, 지난해 1만3513명으로 계속 감소했다. 다만 낙상 사고는 2011년 2144명에서 2012년 2104명으로 줄었다가 2013년 233명, 2014년 2282명, 2015년 2320명 등 소폭 증가 추세다.이에 따라 전체 사망자 수에서 안전사고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2011년 12.6%에서 2012년 11.7%, 2013년 11.6%, 2014년 10.9%, 지난해 10.4% 등으로 줄었다. 문제는 여전히 전체 사망자 중 안전사고 사망률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 6.3%(2013년 기준)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다.안전처는 이같은 안전사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올해 3대 분야 23개 국민안전 중점 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오는 6일부터 3월31일까지 취약시설 중심의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한다. 특히 국민들 스스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매월 4일 안전점검의 날을 정해 주변 위해 요인을 자발적으로 점검하도록 하는 등 안전문화 혁신에 나선다. 우선 대전시, 세종특별자치시가 시범 사업을 벌인다. 안전신고 활성화, 안전 교육 진흥에도 나선다. 정종제 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국민 개개인의 행동 변화가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사망자수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며 "안전문화 운동이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