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식당'이 없다…5년 넘는 음식점, 10곳 중 1~2곳 그쳐

절반 가량은 1년 내 폐업…금리변동에도 취약해대출 금리 0.1%포인트 상승 시 음식·숙박업 폐업위험도 10.6%↑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국내에서 음식·숙박업을 하는 자영업자 중 5년 이상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곳은 10곳 중 1~2곳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숙박업은 시중 금리가 인상돼 대출금리 부담이 더 커질 경우 폐업위험이 가장 커지는 업종으로 꼽혀 금리인상 변화에 타업종 대비 민감도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31일 한국은행의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인용한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계에 따르면 숙박 및 음식점업의 5년 생존율은 17.7%에 그쳤다. 도소매업이 25.0%, 건설업이 25.2%, 부동산 및 임대업이 43.3%, 교육서비스업이 24.7% 등에 달하는 것에 비해 낮은 수치다.1년 생존률도 55.6%에 불과해 절반 가량은 1년 안에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2년 생존률은 39.5%, 3년 생존률은 28.5%, 4년 생존률은 21.5% 등이었다.게다가 이들 음식·숙박업종은 금리인상 요인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한은은 통계청의 전국사업체 조사 자료를 활용해 2006~2013년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등 3대 자영업 업종의 폐업에 업체 소재 지역의 인구, 소비자물가지수, 임대료, 중소기업 대출 금리 등의 변수가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한은 경제연구원의 남윤미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이 자영업 폐업률을 모형화해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 대출 금리가 0.1%포인트 오르면 음식·숙박업의 폐업위험도는 10.6% 상승해 금리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도소매업과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은 7~7.5%로 상대적으로 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부연구위원은 "여기에는 자영업체가 직면하는 금리부담의 증가뿐만 아니라 금리인상으로 인한 소비지출의 위축이 폐업률에 미치는 영향도 포함되었을 가능성 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음식·숙박업의 경우 다른 두 산업에 비해 경기에도 더 민감하고 대출이자율이나 고정인건비 등과 같은 비용 요소 및 동일업종 업체들 간 경쟁정도에도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업종의 특성이 가장 짧은 존속기간을 나타내는 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한편 국내 자영업자들의 대출은 최근 6년새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ㆍ국민ㆍ우리ㆍ하나ㆍ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말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180조4197억원을 기록했다. 2010년말 96조6396억원에 비하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에 정부는 최근 자영업에 대한 대출 고삐를 죄고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자영업자 지원 및 대출 관리 강화 계획'을 발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만드는 과밀업종ㆍ지역 선정 기준 등을 참고해 과밀지역 창업자에게는 가산금리를 매기거나 대출 한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한집 건너 치킨집이 들어설수 없도록 대출 제한에 나선다는 것이지만 자영업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자영업자에 대한 구조조정보다는 소비진작을 통해 경제활성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치킨점을 운영하는 백모씨는 "자영업자에 대한 대출을 막는 정책보다 월세와 주류세를 포함한 원가 상승을 낮춰 부담을 낮춰줘야 한다"고 강조했다.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