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감염병 조기 시스템 구축…한계점도 뚜렷

감염병 실시간 파악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 수두룩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독감이 유행하면서 보건당국의 뒤늦은 대처에 불만이 나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정보 시스템으로는 이 같은 일은 자연스럽다. 현행 감시체계는 인플루엔자와 같이 주간 단위 신고 대상 감염병인 경우 환자가 발생했을 때부터 보건당국 신고까지 최대 1주일이 걸리기 때문이다. 사후약방문이 발생하는 이유이다.
내년부터 이 같은 시스템에 약간의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이 구축됐기 때문이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과 협력해 이 같은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구축된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은 의약품안전사용정보시스템(Drug Utilization Review)의 실시간 처방 내역 빅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발생 추이를 조기에 포착할 수 있다. DUR은 의사와 약사가 의약품 처방?조제를 실시간으로 환자의 복용 중인 약과 병용금기, 중복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DUR에는 2010년부터 현재까지 51억 건의 의약품 처방과 조제내역이 축적돼 있다. 2015년 기준 일평균 약 460만 건의 처방·조제 내역이 전송되고 처리된다. 보건당국은 축적된 처방 데이터를 분석해 감염병 의약품 처방 패턴을 도출하고 패턴과 일치하는 처방내역을 실시간으로 추적해 감염병의 초기 확산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 시스템도 한계는 뚜렷하다. 독감의 경우 처방내역이 매우 다양하다. A 병원에서 독감에 처방하는 약품과 B 병원에서 주는 약이 서로 다르다. 이 같은 다양한 패턴을 분석해 특정 질병의 확산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는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는 '진단명'이 이번 시스템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심평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시스템에는 의약품 처방 내용만 처리된다"며 "진단명 정보가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DUR에 진단명이 추가된다면 이 같은 한계점이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진단명이 추가되더라도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일선 병원의 한 전문의는 "의사들은 대부분 처음 환자가 왔을 때 정확한 진단명을 내리지 않고 '의심'으로 진단한다"며 "이런 의료 현실을 제대로 반영한 감염병 조기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여러 가지 넘어야 할 산들이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