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는 죄가 없는데…의혹 눈총에 방문객 뚝

'박근혜·최순실게이트' 불똥…2016 창조경제박람회, 논란 속 개막한산한 전시관·대통령도 행사 불참작년 개막식 인산인해 풍경과 대비국회 등서 관련 예산 삭감·조정 검토겨우 살아나던 창업열기 불씨 꺼질라스타트업 육성 기조는 계속 돼야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 박소연 기자]1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관.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을 비롯해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6년 창조경제 박람회' 개막식이 열렸다.2013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창조경제박람회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사업인 창조경제의 민간과 정부 실적을 공유, 확산하기 위해 만든 행사다.하지만 최순실, 차은택 등 비선실세들이 창조경제에도 개입했다는 의혹들이 제기되면서 올해 창조경제박람회는 예년과 다른 양상으로 진행됐다. 지난해의 경우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인산인해였지만 올해는 한산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날 행사에 불참했다.
◆최순실 유탄맞은 미래 먹거리 산업 = 박근혜 정부 최대 실적인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최순실 게이트의 유탄을 맞으며 곳곳에서 삐걱대고 있다. 정부는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지역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 대기업과 함께 전국 17개 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건립해 운영했다.하지만 야당은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도 의혹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대기업들은 센터 설립에 적게는 3000만원, 많게는 121억원의 기부금을 냈는데 이 과정에서 부당한 압력이 있지 않았겠냐는 것이다.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홈페이지 구축 작업을 진행한 업체는 차은택 전 민관합동창조경제추진단장과 관련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최순실 사태 여파로 전시회 참석자도 크게 감소했다. 전시에 참여했던 한 기관 관계자는 "지난해 개막식 첫날과 비교해 올해에는 사람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며 "최순실 사태 이후 창조경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어든 것 같다"고 안타까워 했다.
◆예산 삭감에 휘청거리는 창조경제 = 야당은 내년 창조경제혁신센터 예산의 삭감을 주장하고 있다. 국회 예결특위 예산소위원회는 최근 창조경제관련 2017년도 예산 1426억원(올해 예산대비 564억원 증액)중 365억원의 삭감안에 대해 재심사하고 있다.박원순 서울시장은 내년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 지원하는 시비 20억원을 전액 삭감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전남도의회는 전남센터 운영 도비 전액(10억 원) 삭감을, 경기도의회는 도비 절반인 7억5000만원 삭감을 각각 심의중이다.안정상 국회 미방위 수석전문위원(더불어민주당)은 "그동안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대통령과 미래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추진되면서 실익은 없고, 예산 낭비만 초래된 결과가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스타트업 육성 지속 필요성 제기 = 벤처 등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최순실 사태와 창조경제와는 무관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창조경제가 도매급으로 묶여서는 안된다는 소리다.업계는 국내 창업 열풍이 되살아나는 등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 스타트업 육성 정책의 기조가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경제를 이끌어왔던 제조 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벤처기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 기회를 발굴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한국스타트업생태계포럼이 발간한 백서에 따르면 최근 2년간 1년 미만의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투자 건수는 73% 증가했으며 2~3년 기업에 대한 투자 건수도 81%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중 석박사의 비중도 35%에 달해 실리콘밸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2000년 벤처붐 이후 급속히 감소했던 엔젤투자 관련 지표도 최근 증가세로 돌아섰다. 엔젤투자자들의 주요 투자 대상이 되는 3년 이내 창업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금액은 2014년 상반기 1799억원에서 2015년 상반기 2554억원으로 약 4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창업(신설법인 기준) 수는 2010년 6만개에서 2014년 8만5000개로 연평균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임종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은 "서울과 달리 창업보육 시설이 많지 않은 지방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같이 생태계를 지원해주는 곳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름이 무엇이 됐던 창조경제의 불씨는 이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산업2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