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노연 "고용불안은 협력업체도 해당돼 파업동참 건의 중" 조선3사 협력업체 직원이 정규직 노조 가입 직원의 3배 달해협력업체 안 나서면 조선소는 돌아가 조직 없고, 불이익 당할까 꺼려하는 분위기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오는 20일 총파업을 앞둔 국내 주요 조선사들이 협력업체까지 파업에 동참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조선사 근로자들은 인력감축·설비폐쇄를 포함한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조선노동조합연대(이하 조선노연)를 중심으로 총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14일 황우찬 조선노연 공동의장(금속노조 부위원장)은 "이번 총파업에 참석하는 조선업 근로자수는 3만명에 달해 사상 최대 규모가 될 것"이라며 "고용 불안정 문제는 협력업체에게도 해당돼 함께 파업을 하자고 건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선노연은 주요 조선사 8개로 구성된다. 이중 대형 3사인 현대중공업(1만5000명) ·삼성중공업(5500명)·대우조선해양(6900명)의 노동조합 근로자수는 2만7400명이다. 여기에 금속노조 STX조선 지회(987명) 참여해 이들이 모두 파업에 동참하면 약 3만명에 가깝다는 것이다. 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은 아직 쟁의권 확보 절차가 진행 중이라 결의대회를 여는 방식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한진중공업 소수 노조인 전국금속노조 한진중공업 지회는 파업을 하려해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다수 노조인 한진중공업 노동조합이 "파업은 없다"고 선언한 것이 이유다. 조선노연이 협력사에게 파업에 동참 해줄 것을 촉구하는 이유는 협력사 직원이 정규직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조선·해양 부문 외주협력사 인원'은 현대중공업은 3만3000명, 대우조선해양은 2만9000명, 삼성중공업이 2만6000명에 달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정규직들이 파업을 하더라도 현장에는 협력업체 직원들이 훨씬 많고, 공장이 돌아가는 데는 치명적인 문제가 초래되지 않는다"라며 "협력업체들이 도와줘야 파업도 실효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협력업체의 조직 구심점이 없다. 현대중공업만이 현대중공업사내하청지회를 둔 정도다. 협력업체 직원들이 '조선사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갈까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도 있어 파업 동참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황우찬 의장은 전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조선노연 기자회견을 통해 "국회와 정부에 조선문제를 해결하자고 얘기했지만 아무런 답도 들을 수 없었다"며 "한국 조선업이 숙련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1위로 올라섰음에도 이들을 해고하고 비정규직화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하냐"고 반문했다. 조선노연은 구조조정에 대해 반대하면서 조선산업의 미래를 위해 논의할 수 있는 공론장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황 의장은 "정부가 일단 구조조정을 중단하고 토론에 나선다면 20일 총파업을 철회할 용의도 있다"며 "그러나 구조조정이 중단되지 않으면 파업투쟁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변성준 삼성중공업 노동자협의회 위원장은 "(대규모 적자의 원인인) 해양플랜트는 정부가 미래 먹거리라며 요구했던 분야"라며 "하라고 해놓고 문제가 있으니까 모든 책임을 노동자들에게만 지우는 대한민국의 조선 정책이 가관이다"라고 지적했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은 서울, 울산 등 주요 사업장 내 15곳에 투표소를 마련하고 전체 조합원 1만6000여명을 대상으로 13~15일까지 파업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20일 현대자동차 노조와 함께 울산에서 동시파업을 벌일 계획이다. 대우조선해양 노동조합은 지난 4일부터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파업 찬반 재투표에서 파업을 가결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7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동안 전면파업을 벌였다. 이런 노조의 움직임이 무리수라는 지적도 있다. 올해 상반기 국내 조선사 수주가 지난해 동기 대비 88%나 추락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총파업은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이 지난 11일 담화문 형식으로 직원들에게 "지금은 조금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회사 문을 닫느냐 마느냐 하는 절체절명의 순간"이라며 노동자협의회의 '안벽 집회'에 대해 "해양플랜트 공정이 늦어지는데 이럴 수 있느냐. 회사를 압박하려다가 선주를 떠나게 하는 악수가 될 수 있다"고 호소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