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시작부터 '막말' 오명…與野 '혁신'은 요원(종합)

대정부질문서 여야 충돌 거듭하다 '파행'…이장우 '김동철, 의원직 사퇴해야'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20대 국회 첫 대정부질문이 막말 고성으로 파행을 빚는 불명예를 안았다. 황교안 국무총리를 비롯해 주요 부처 장관들이 한 자리에 모인 본회의장에서 여야 의원들이 감정싸움에 매몰돼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했다. 5일 열린 국회 비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질의자로 나선 김동철 국민의당 의원은 이장우 새누리당 의원 등 여당 의원들과 충돌을 거듭했고, 여야가 양측의 사과를 요구하면서 결국 본회의가 파행됐다. 이날 대정부질문은 세월호 보도 통제 논란·정운호 게이트·어버이연합 관련 의혹 등 민감한 현안들이 많아 야당의 공세가 예상되긴 했지만 '막장'으로 치닫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 김 의원은 "총리의 부하직원인가, 대한민국 국회의원인가" "질문할테니까 간섭하지 말란 말이야! 왜 질문하고 있는데 간섭을 해?" "어떻게 대전시민은 저런 사람을 국회의원으로 뽑아놨나" 등 격한 발언을 쏟아냈다.
국민의당은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사태 수습에 나섰고 김 의원이 단상에서 유감 표명하는 조건으로 본회의가 재개됐다. 김 의원은 "이유야 어찌됐던 저로 인해 국회가 정회된 데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대전시민을 거론하는 등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서도 유감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사태가 일단락되는 듯 했지만 이 의원은 "사과로 끝날 일이 아니다"며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의원에 의원직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만약 사퇴하지 않을 경우 윤리위 제소를 포함한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며 "더 이상 김동철 의원 같은 '막말 의원'이 국회에서 발을 디딜 수 없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누구의 탓이든 이번 막말 소동은 여야 의원들이 국회의 품격을 스스로 낮춘 것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한 여당 관계자는 "국회선진화법이 제정되기 전 의원들간 몸싸움과 막말이 난무하던 시절을 보는 듯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야가 경쟁적으로 특권 내려놓기 등 국회 혁신 작업을 추진하던 시점이라 국민적 실망감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수민 국민의당 의원의 리베이트 의혹을 비롯해 친인척 채용 등 도덕성 논란이 불거진 지 얼마 되지 않아 국회가 또 다시 '골칫덩어리' 신세로 전락한 셈이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