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 ‘대산단지’, 물 부족에 산업시설 가동 차질 우려

[아시아경제(충남) 정일웅 기자] 충남 서산 대산임해산업지역(이하 대산단지)이 공업용수 부족사태에 직면할 처지에 놓였다. 이에 따라 충남도는 서산시와 K-water, 입주 기업 등과 ‘대산지역 용수 확보를 위한 협의회’를 구성하고 긴급대책 마련에 나섰다.20일 도에 따르면 대산단지 입주 기업 5곳은 현재 아산공업용수도(아산 정수장)를 통해 일평균 11만9000㎥의 용수를 공급받는다. 또 이들 기업은 자체 정수시설을 구비, 인근 당진 대호지에서 일평균 16만9500㎥를 취수해 사용 중이기도 하다.하지만 여수·울산 석유화학단지가 포화상태에 접어들면서 업체들이 대산단지 내 시설증설을 추진, 산단 및 기업이 추가 입주하면서 용수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게 도의 설명이다.이 때문에 현재의 용수 공급시스템을 유지할 경우 당장 내년부터 하루 5200㎥의 물 공급 차질이 우려된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실제 K-water는 대산단지 내 공업용수 신규 수요조사를 통해 내년 중 A업체는 3000㎥, B업체는 2200㎥ 가량의 물 부족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연간 물 부족량은 오는 2018년 일일 1만4700㎥, 2019년 6만5700㎥, 2020년 이후 8만7700㎥ 등으로 급증해 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여기에 5개 업체가 사용하는 대호지는 지난 2012년 가뭄으로 용수공급 중단사태를 겪은 바 있고 최근에는 염도까지 높아져 용수 공급에 어려움을 더한다. 대호지 외에도 삽교호는 수질이 좋지 않아 공업용수 사용이 불가능하고 아산호는 용수공급 포화 상태로 추가 취수 여력이 없는 상황인 것으로 도는 판단하고 있다.반면 대산단지 내 5개사의 연매출액은 41조원으로 국내 2위 석유화학 산업단지로 꼽혀 용수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때 지역은 물론 국가적 손실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견된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도는 최근 대산지역 용수 확보를 위한 협의회를 구성하고 지난 8일 도청에서 첫 회의를 열어 안정적 물 공급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최경일 도 물관리정책과장은 “대산단지는 매출과 국세 규모 모두에서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다”며 “하지만 개별입지로 조성된 탓에 각종 인프라 지원에서 소외받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도는 협의회를 통해 대산단지 내 용수 공급대책을 마련, 용수 부족으로 생산라인이 가동되지 않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충남=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