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일보(梅花日報)

빈섬 '내 인생의 詩'

얘기를 하느라 바싹 구워져버린 고기젓가락에 들린 얘기를 마음에 받아 적는후배의 눈 속에 타오르는 매화꽃뜨거운 중심에서 올라와 화득화득 불길을 이루는숯불이 눈에 비쳐 눈물이 붉구나툭 부딪치는, 처음처럼 붉구나이토록 뛰어와도 헐벗은 초심껴안고 껴안아도 옆구리로 새는내것이 아닌 삶에 한잔. 괜찮다에 한잔. 미안하다에 한잔.그래도 고맙다에 한잔나를 택시에 태우며 찬 손 흔드는꽃샘 추위에 우리 조금 식더라도추운 자리에서 그래도 핀다뜨거운 말들 조금 더 취해 검어지는마음숯 저 검댕이가 실은 불덩이인그 눈, 꽃발바닥에 눌리는 말씀을 새기는 충무로거북선 세 척만 있더라도 이길 수 있다눈맞는 매화에겐 얼어죽을 설한이 꽃피는 날 이빈섬 '매화일보(梅花日報)' ■ 충무로의 신문사 편집국에서 열정과 신념으로 헤쳐나가야할 일들을 생각한다. 매화열매가 신산(辛酸)한 것은 그 추위를 견디면서 온몸이 시고 매워졌기 때문이다. 不是一番寒徹骨 爭得梅花撲鼻香이란 시 구절이 있다. 추위가 한 차례 뼈속에 사무치지 않으면 어찌 매화가 코를 찌르는 향기를 얻으리요.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