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길 끄는 與 원내대표의 '핵무장' 발언

'핵무장'은 원유철 원내대표 소신…실현 가능성은 낮아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15일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관심을 끄는 부분은 '한반도 핵무장론'이다.원 원내대표는 이날 연설에서 "북한의 공포와 파멸의 핵과 미사일에 맞서 이제 우리도 자위권 차원의 평화의 핵과 미사일로 대응하는 것을 포함해 생존전략을 고민해야 할 때"라며 '평화의 핵' 보유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이 발언이 의미심장한 것은 여당 지도부 투톱 가운데 한명이 공식석상에서 밝힌 데다, 북한의 핵보유를 결국 인정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원 원내대표는 "한반도의 비핵화는 반드시 지켜져야 하고, 저 역시 핵무기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그 누구보다 간절히 원하고 있다"면서도 "6자회담도, 유엔 안보리 제재도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저지하는데 별 실효성이 없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고 설명했다.비핵화 바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을 보유한 만큼, 이에 맞서기 위해서는 우리도 핵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논리가 가능하다.특히 원 원내대표는 "비가 올 때마다 옆집에서 우산을 빌려 쓸 수는 없다"는 비유를 들어 미국 '핵우산'의 한계를 지적하며 "우리 스스로도 '우비'를 튼튼하게 갖춰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원 원내대표의 핵보유 발언은 그의 소신이기도 하다. 국회 국방위원장 출신으로 2013년 새누리당 북핵안보전략특위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원 원내대표는 당시 "자위권 차원에서 우리나라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고 말했으며 "(이를 위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도 불가능한 건 아니다"라고도 했다. 지난달 초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했을 때도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핵과 핵의 대치 국면은 또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다만 박근혜 정부의 비핵화 방침과도 상반되는 만큼 실현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원 원내대표가 과거 "NPT를 탈퇴도 불사해야 한다"는 발언도 했지만 국제정세상 쉽지 않다.박 대통령도 지난달 대국민담화에서 핵 무장론과 관련해 “국제사회와의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깨는 것”이라고 선을 그은 바 있다.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