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지역 상생형 면세점으로 동대문 새 도약 이끈다'

두산타워

동대문 두산타워 입지로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 신청서 제출 면세점 구심점으로 동대문 상권 활성화 및 글로벌화 주도[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지역 상생형 면세점을 만들어 동대문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겠다."두산은 지난 25일 동대문 두산타워를 입지로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신청서를 서울세관에 제출했다고 29일 밝혔다. '지역 상생형 면세점'은 면세점 내 매장 및 면세점과 연계한 각종 프로그램에 소상공인과 중소 패션 업체 등 주변 경제주체들이 대거 참여해 '지역 상권이 함께 만들어 가는 면세점'을 가리킨다. 또한, 면세점 입점에서 발생하는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극대화해 상권을 활성화시키고, 동대문 상권을 지금보다 더욱 확장하는 일에 두산이 앞장서겠다는 뜻이라고 두산은 설명했다. 이를 위해 두산은 인근 대형 쇼핑몰과 연계하며 ▲'K-스타일' 타운을 조성하는 '인근 쇼핑몰과의 상생'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및 전통시장과 연계한 야시장 프로그램 등을 통한 '소상공인과의 상생' ▲지역 내 역사탐방, 먹거리탐방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한 '골목상권과의 상생'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동대문 상권의 특징인 심야 쇼핑에 외국인 관광객 집객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심야 면세점' 운영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면세점 운영 성과를 직접 공유하는 차원에서 동대문 지역 브랜드를 발굴, 입점시킴으로써 글로벌화를 지원하고, 중소기업 제품 판매 면적을 국내 최고 수준으로 갖출 계획이다. 특히 두타와 연계해 두타에서 발굴하고 육성한 디자이너들의 글로벌 판로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영업이익 일정액을 지역에 환원하고 동대문 문화 관광 자원 개발, 지역 소상공인 맞춤형 복지 제공, 동대문 쇼핑 인프라 개선, 관광객 유치 및 해외 마케팅 활동 등에도 가시적 성과를 낼 실행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두산 관계자는 "다른 지역과 달리 동대문 두타는 별도의 섬처럼 혼자 존재하는 게 아니라 상권 중심에서 한 부분으로 녹아들어 있기 때문에 면세점이 들어설 경우 주변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크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면세점과 연계한 관광, 쇼핑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동대문 상권자체를 방사형으로 확장시키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경 1.5km내에 있는 흥인지문, 한양도성 성곽길, 낙산공원, 동묘, 신설동 풍물시장, 대학로 등으로 관광객 동선을 확장시키는 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면세점 구성에 있어서는 트렌드세터들이 많이 찾는 동대문 쇼핑 스타일을 반영해 기존 면세점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매장을 구성할 예정이다. 국내외 명품 브랜드를 포함해 입점의향서(LOI)를 이미 확보한 460여개 브랜드를 테마에 맞춰 배치해 쇼핑객이 취향과 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쇼핑을 즐길 수 있도록 동선을 꾸밀 계획이다. 또한 '한국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에게 어필할 수 있는 한국 대표 제품들을 소개하는 공간을 크게 갖추고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동현수 두산 사장은 "이번 면세점 특허신청은 '제로 베이스'라는 원칙을 염두에 두고 준비했다"며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똑 같은 선상에 놓고 따진다면 입지, 주변 상권과의 연계, 지역 특성에 맞는 운영 등 여러 면에서 '두타면세점'은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