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의 타이밍… '한일관계' 지렛대 국내외 위기돌파 모색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일본과의 해빙 분위기를 지렛대 삼아 국내외에서의 '고립 위기'를 타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와 올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인한 민심 동요를 제대로 조절하지 못한 박 대통령은 외교 측면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원칙을 고수하며 대일관계 개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간다면 '한국의 외교고립'을 비판해온 목소리를 잠재울 수 있다. 더불어 사그라지던 집권 후반기 국정동력도 되살릴 기회를 마련할 전망이다.청와대는 22일 전날 결정된 박 대통령의 일본대사관 주최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 참석과 관련해 "새로운 한일 관계의 미래를 열어나가기 위한 것으로 박 대통령은 양국이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갈 것을 (축사를 통해) 강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행사를 갖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교착상태에 있는 한일 관계의 실타래를 어떻게 푸느냐가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언급한 사실을 굳이 덧붙인 것은 '너무 앞서가는 해석'을 경계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박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국교정상화 리셉션 교차 참석은 동북아 안보지형에 확실한 긴장완화 바람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의 연내 개최에 이어 양국 정상 취임 후 첫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각 나라별 내부 사정으로 분위기가 깨질 위험은 여전하지만 수년간 이 지역을 휘감아온 역사적 갈등 고리가 2차대전 종전과 관련된 일련의 행사들을 계기로 해법의 실마리를 찾아가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에서 열리는 리셉션에서 '양국 관계 개선과 미래지향적 발전의 전제가 되는 일본의 결단'을 다시 한 번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 견지해온 입장에서 딱히 바뀐 게 없다. 4년 만에 외교부 장관을 일본에 보낸 것과, 대통령이 직접 리셉션 참석키로 한 것만으로도 관계개선 의지를 보여주는 데 충분하다는 생각이 깔려 있다.때 마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아베 총리를 만날 의사를 밝히고 나서 관심을 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러시아 전승기념일 참석에 이어 비슷한 취지의 중국 쪽 행사에 답방할 예정인 푸틴 대통령은 최근 외신기자들과 만나 "오래된 영토분쟁을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고 교도 통신이 보도했다.아베 총리의 8·15 담화는 동북아 긴장완화의 최대 변수다. 과거사에 대한 분명한 사죄와 반성이 담기느냐에 따라 3년 만의 한·중·일 정상회담과 연쇄적인 양자회담 개최 논의는 급물살을 탈 수도, 없던 일이 될 수도 있다. 이는 또한 향후 수년간 동북아 안보지형을 결정할 중대 계기가 됨과 동시에 박 대통령 입장에선 난국 타개의 최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