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아내, 때로는 조용하게…때로는 정치적 동반자로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정치인의 아내가 이슈 중심에 섰다. '성완종 리스트'에 올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당 대표 경선 자금의 출처를 부인 이순삼 여사의 비자금이라고 밝히면서다. 정치인 아내의 내조는 독특한 장르의 또 하나의 정치다. 지역구 관리부터 이미지 메이킹까지 일도 많지만 탈도 많아 구설에 오르기도 한다. 무한 헌신에도 명예는 남편 몫이다.정치인 아내의 내조 스타일은 다양하다. 있는 듯 없는 듯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뒤에서 헌신하는 '그림자 내조'형이 가장 많다. 지난 2월 별세한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아내 고(故) 박영옥 여사가 대표적이다. 김 전 총리가 대통령 선거에 나섰을 때를 비롯해 정치 역경의 순간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든든하게 자리를 지켰다. 박 여사의 내조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김 전 총리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고(故) 노무현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 장인의 좌익 경력이 불거지자 '대통령이 되기 위해 사랑하는 아내를 버리란 말입니까'라고 말해 유권자들의 심금을 울렸고 당선 후 권양숙 여사는 영부인으로서 조용하면서도 강단 있는 내조를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정몽준 전 새누리당 대표의 아내 김영명 여사도 매일 같이 새벽기도를 하며 조용한 내조를 한다. 대선, 지방선거 등 정치 일정뿐 아니라 2002년 한일 월드컵 유치 등에서 정 전 대표를 보이지 않게 지원했다. 김 여사는 30대 초반이던 1988년 처음 치른 선거(울산 동구)를 시작으로 올해로 28년째 정치 내조를 해 오고 있다. 주변에선 "드러내놓고 정치 관련 발언을 하진 않지만 꼭 필요할 땐 정곡을 찌르는 조언을 하는 편"이란 평가를 받는다.이인제 새누리당 최고위원의 아내 김은숙 여사는 적극적인 내조 스타일로 유명하다. 김 여사는 이 최고위원이 경기도지사 시절 '경기도 힐러리'라 불릴 만큼 외향적인 내조로 주목을 받았다. 세 번의 대권 도전에 실패한 이 최고위원의 재기에 일조했다. 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전 대표의 아내이자 배우인 최명길씨도 이와 유사하다. 스타의 이름값을 활용해 남편의 기를 살린다. 특히 선거철에 위력을 발휘한다.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의 아내 김정숙 여사는 과거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 4·29 재보궐선거에서 '강화의 딸'이라고 외치며 지원유세를 펼쳤다. 지상욱 새누리당 서울 중구당협위원장은 배우 심은하씨의 남편으로 더 유명하다. 자유선진당 대변인 시절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던 심씨는 최근 지역 행사에 동행하며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