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이 참여하는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27곳 선정

기본 방향 및 실행계획 담은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 첫 발표낙후된 지역에 대해 우선순위 선정 … 집중적인 재생 추진[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서울시가 향후 도시재생의 추진 모델이 될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 지역' 27곳을 선정하고 1단계로 민간투자 촉진, 통합적 계획수립, 공공 인프라 구축 등에 오는 2018년까지 1조3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키로 했다.기존의 일률적인 전면철거 방식이 아닌 계획부터 실행에 이르는 전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돼 각 지역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는 맞춤형 정비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3년간의 준비와 기반 작업 끝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9일 발표했다. 민선6기 핵심 키워드인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추진 방향을 담고 실행력에 무게를 둔 서울시 최초의 종합적 재생계획이다. 시는 지역 특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27개 선도 지역을 ▲쇠퇴·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7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 등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맞춤형으로 재생한다는 방침이다.우선 쇠퇴·낙후산업 지역은 한때 성장을 견인했으나 산업재편 과정에서 활력이 저하돼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활로 모색이 필요한 세운상가, G-밸리, 장안평 일대 3곳을 집중 대상지로 삼는다.역사·문화자원 지역은 삶의 흔적이 담긴 지역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개발로 훼손돼 이를 보전하면서 관광명소로 활성화시킬 방안이 필요한 세종대로,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등 7곳을 선정했다. 과거 철도역 등 성장을 견인했으나 현재는 지역발전 저해시설로 전락한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곳은 지역단절을 극복하면서 중심지 기능을 강화해야 할 곳으로 분류됐다.노후지역인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곳에 대해서는 공공지원시스템을 구축해 통합 관리하는 한편, 획일적인 재개발·재건축 방식에서 탈피한 재생모델도 정립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개인주택 개량을 위한 융자 지원을 강화하고, 한 구역에서 주거환경관리, 가로정비, 주택개량 등 사업을 혼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기존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한편, 뉴타운 해제구역의 경우 갈등 수습을 마무리짓기 위한 유형별 맞춤형 대책을 강구한다.서울시는 이들 선도사업에 앞으로 4년간 1조3000억을 투자키로 했다. 또 SH공사를 재생사업 실행을 위한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시와 별도로 재생 사업에 추가적으로 1조원 이상을 투자할 방침이다.SH공사는 동북권의 중요한 광역거점 복합개발 사업인 '창동·상계 신경제 중심지 조성'을 위한 1단계 붐업사업에도 시행자로 참여할 예정이다.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저성장 시대, 서울의 재도약을 위한 도전과제인 도시재생의 첫걸음을 떼는 이 시점에서 27개소 선도지역이 도시재생의 모범적 사례가 되도록 추진해 나가겠다"며 "특히 시민과 함께 하는 재생이 돼야 한다는 점을 원칙으로 삼아 100년 서울의 기반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