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성장 신호전달체계 세계 최초 규명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암조직내 대식세포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암세포 성장을 도와주는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정상세포까지 파괴하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넘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서울대병원은 순환기내과 이상언·김효수 교수의 연구팀이 대식세포의 'PPAR델타'라는 전사인자가 암세포에 의해 활성화되면 암세포 제거 임무 대신 오히려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또 대식세포의 PPAR델타를 차단하면 암세포 성장이 억제된다는 점도 증명했다. 대식세포는 외부에서 침입하 균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암세포가 생길 경우 이를 인해 제거해야 하지만 암세포에 길들여져 암세포의 생존과 이동, 영양공급에 중요한 혈관 생선을 촉진시켰다. 연구팀은 대식세포의 PPAR델타가 발현되지 않은 생쥐의 골수를 정상 생쥐에 이식해 실험군인 대식세포만 특이적으로 PPAR델타가 발현하지 않은 생쥐와 PPAR델타가 발현되는 생쥐(대조군)을 각각 만들었다. 이후 두 군에 폐암세포를 이식한 뒤 2주 째 암세포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PPAR델타가 없은 실험군에서 폐암세포가 107.94㎣, 대조군에서는 229.45 ㎣로 나타났다. 암세포의 무게도 실험군에서는 45mg인 반면, 대조군에서는 122.2mg로 나타났다. PPAR델타가 없는 경우 암조직의 성장이 어렵다는 의미로, 암조직의 성장에는 PPAR델타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김효수 교수는 “본 연구는 대식세포가 암의 성장과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핵심신호전달 체계를 밝히고, 이를 차단하면 암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암 치료에서 새로운 타깃을 발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고 말했다.지연진 기자 gy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