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탕평책' 계파 갈등 잠재울 수 있을까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신임 대표의 탕평책은 성공할 수 있을까. 2·8 전국대의원대회(전대)를 거치면서 드러난 계파 갈등의 민낯을 잠재울 수 있을까.문 대표는 취임 직후 기자회견에서 "계파 논란을 제가 확실히 없애겠다"며 "백마디 말보다 실천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당직 인사에서 조금이라도 친노(친노무현)를 챙기는 기색이 보이면 당 안팎에서 난리가 나지 않겠나. 그 순간 저는 실패한 당 대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지난 주 세 차례에 걸친 당직 인선에서 문 대표는 우선 탈(脫)계파와 내부 통합에 대한 의지를 어느 정도 드러냈다는 평이다. 문 대표는 지난 9일 1차 인선에서 김현미 의원을 대표 비서실장으로, 유은혜 의원을 대변인으로 기용했다. 이 둘은 친노계가 아닌 데다 오랜 당직자 출신의 여성 의원으로 당내 대인관계도 원만한 편이다.11일 두 번째 인선에서는 사무총장에 3선의 양승조 의원, 정책위의장에 역시 3선의 강기정 의원, 수석대변인에는 재선의 김영록 의원을 각각 임명했다. 이날 당직 인선은 호남과 충청 등 지역과 계파를 안배한 흔적이 엿보였다.양 사무총장은 충남 천안갑 지역구 의원으로 손학규계로 분류된다. 강 정책위의장의 지역구는 광주 북구갑으로 정세균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내 정세균계로 꼽힌다. 김 수석대변인은 전남 해남·완도·진도를 지역구로 두고 있다.문 대표는 13일에는 지명직 최고위원에 4선의 중진인 추매애 의원과 한국노총 위원장 출신의 이용득 전 최고위원을 지명했다. 전략홍보본부장에는 전북 출신의 이춘석 의원(재선)을 임명했다.김 수석대변인은 "추 의원은 당 대표를 지낸 분으로 통합을 위한 열정과 헌신이 높게 평가됐으며 이 전 최고위원은 노동계 대표성 등이 고려됐다"면서 당 대표의 당직 인선 기준을 설명했다.문 대표는 친노를 배제한 당직 인선 외에도 당권을 놓고 경쟁했던 박지원 의원을 직접 만나 통합 행보를 이어갔다. 또 취임 후 첫 주말에는 광주를 방문해 야권의 텃밭인 호남 민심 껴안기에 나서기도 했다.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