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북한이 김정은식 '공세적 외교'를 가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무상이 중동 아프리카와 동남아를 돌아 한반도 정세와 북한 정책에 대한 입장을 설명하고 지지를 소호산 데 이어 이번에는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국제비서와 외무상이 역할을 나눠 유럽과 미국을 방문한다.이들은 해당 국가에서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책을 설명하고 지지를 호소하는 '공세적 외교전략'을 펼 것으로 분석된다.
강석주 북한 노동당 국제비서
복수의 정부 당국자는 2일 "북미 제네바 합의의 주역으로 북한의 북핵과 대미외교를 포함한 북한의 외교정책을 주도하는 강석주 북한 노동당 국제비서가 곧 유럽 국가를 순방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강석주는 이르면 이번 주 후반부터 약 10일 동안 독일,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를 차례로 방문하며, 벨기에에서는 유럽연합(EU) 측과의 일정도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강석주는 북한 행정부 내에서 지위가 없어 이번 방문은 방문국 정당과 당 대 당 교류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문국 정부 인사와 면담 일정도 잡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강석주가 북한의 거물급 인사인 데다 1994년 북한의 핵동결과 핵사찰·핵시설 해체 수용의 대가로 경수로와 중유를 받고 북미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제네바 합의를 이끌어낸 협상 주역이라는 점에서 그의 행보는 이목을 끈다.강석주의 유럽 방문은 미국 정부 당국자의 극비 평양 방문설과이달 하순 리수용 북한 외무상의 뉴욕 유엔총회 참석 등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 수밖에 없다.일각에서는 강석주가 유럽에서 미국이나 일본측 인사들과 비밀 접촉을 하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강석주는 11~13일 스위스를 방문하는 데 일본 총리실 납치문제대책본부 수장이 제네바에서 10일 열리는 납북 일본인 문제를 주제로 한 세미나 참석 기간과 겹친다. 북일 간 고위급 접촉 가능성이 나오는 이유다.
리수용 북한 외무상
또 리수용도 미국과 비공식 접촉을 통해 관계개선을 모색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그러나 그의 체류지가 뉴욕으로 한정돼 있어 미국 정치권과 비밀 접촉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전문가들은 이들의 해외 순방에 대해 역할분담을 통한 북한의 입장 설명과 지지를 호소하는 공세적 외교전략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강석주와 리수용이 역할을 분담해 유럽과 중동, 동남아를 돌면서 지지를 확보함으로써 한국과 미국이 대북정책을 전환하도록 압박하는 정책을 구사한다는 것이다.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유럽과 북한 간에는 의원 친선 외교가 있었다는 점에서 강석주의 유럽 방문은 이례적인 것"이라고 평가하고 "그는 유럽에서 남북관계와 한반도 불안정요인을 설명하고 지지를 요청할 것"이라고 전망했다.리수용 외무상 역시 유엔 총회 연설에서 을지프리덤가디언(UFG) 등 북한 공격훈련과 적대시 정책이 한반도 불안요인이며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하려 하는 이유라는 주장을 펴는 등 공세적 외교활동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리수용은 특히 이번 유엔 총회에서 북한 인권문제가 의제로 상정될 경우 북한 지지국가들을 설득하고 표결후에는 사후수습을 맡을 것으로 양 교수는 예상했다. 정부도 이 같은 분석에 공감을 표시하고 있다. 북한이 유엔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를 포함한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어 경제가 빠른 속도로 나아지지 않는다는 한계를 알고 있는 만큼 외교적 고립을 탈피하는 것 외에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완화시키려는 목적에서 '공세적 외교' 행보를 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정부는 그렇더라도 국제사회가 일관되게 핵·미사일 포기해야 한다는 북핵불용의 원칙을 공유하기 때문에 목표 달성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같은 맥락에서 강석주가 미국과 일본과 접촉 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공세적 외교라는 맥락에서는 북한이 앞으로 공관이 없거나 외교관계가 없는 남미지역을 집중 공략할 것이라는 관측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박희준 기자 jacklon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