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거품 논란'…국내외 등급차 최대 8계단

포스코·GS칼텍스, 국내외 신용등급 차이 8계단…민간기업 평균 등급차는 6계단[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최근 포스코(POSCO)와 대한항공 등 우량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연쇄강등'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기업들의 국내외 신용등급 간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대기업들은 국내에서는 평균 'AA+' 등급을 받았지만 해외에서는 6계단이나 아래인 'BBB+'에 그쳤다. 포스코와 GS칼텍스는 국내와 국제 신용평가 등급 차이가 8계단이나 됐다.19일 CEO스코어가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 중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신용평가를 받은 33개 기업의 지난달 신용등급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등 국내 3개 기관이 내린 등급은 평균 'AA+'였다. 반면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 등 해외 3개 기관이 내린 등급은 평균 'A-'였다.국내외 신용평가 등급이 모두 22단계로 돼 있는 점을 근거로 최상위인 'AAA'를 1로 놓고 수치화하면 국내 신용평가사는 1.6등급을, 국제 신용평가사는 6.8등급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외 신용등급 괴리가 5.2등급에 달하는 것이다. 이는 국내 신용 등급이 해외보다 24% 정도 고평가돼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공기업과 은행을 제외한 18개 민간 기업만 보면 국내 신용평가사 평균 등급은 'AA+'(조정수치 2.2등급)인 반면 해외에서는 'BBB+'(8.5등급)로 국내외 간극은 6.3이나 됐다.신용등급 간 괴리가 가장 큰 회사는 최근 20년 만에 'AAA'(1등급)에서 한 계단 강등돼 'AA+(2등급)'가 된 포스코였다. 포스코는 무디스로부터 Baa2(9등급), S&P로부터 BBB+(8등급), 피치로부터 BBB(9등급)를 받아 국내 기관과의 등급 차이가 8등급이나 났다. 국내 평가등급이 해외보다 36%나 높은 셈이다.GS칼텍스 역시 무디스와 S&P에서 10등급인 Baa3과 BBB-를 받았으나 국내에서는 2등급인 AA+로 8계단이나 차이가 났다.현대차, LG전자, S-Oil, 롯데쇼핑, SK하이닉스, 현대제철 등은 국내에서 AAA(1등급)~A+(5등급)를 받았으나 해외에서는 BBB+(8등급)~Ba2(12등급)에 그쳐 7등급의 차이를 보였다.기아차, 현대모비스, KT, SK텔레콤, SK종합화학, 이마트, 포스코건설, SK E&S 등은 국내에서 받은 최하 등급이 AA-(4등급)였으나 해외에서는 BBB-(10등급)로 6계단 차이가 났다.민간 기업 중 국내외 신용평가 등급 간 괴리가 가장 작은 곳은 LG화학이었다. LG화학은 국내에서 2등급인 AA+를 받았고 무디스에서 A3(7등급), S&P에서 A-(7등급)를 받아 차이가 5등급에 불과했다.한국의 국가등급이 Aa1(2등급)에서 AA-(4등급)로 평가되는 점에 비춰 LG화학의 국내외 등급 격차는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기업은행과 산업은행 등 국책은행은 국내(AAA)와 해외(AA-~A+) 격차가 3등급에 그쳤다.국민·신한·우리·하나·외환·농협 등 시중은행은 국내에서는 모두 AAA(1등급)를 받았고 해외에서는 A1(5등급)에서 A-(7등급)까지 평균 6등급을 받아 5계단 차이가 났다.한국전력공사, 가스공사,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 등 국내서 AAA를 받은 공기업은 해외에서 평균 5등급(AA-~A+)을 받아 4계단 차이가 났다.100대 기업 중 국내 신용 평가를 받은 곳은 78개사였다. 1등급(AAA)을 받은 곳은 20개로 25.6%에 달했다. 그러나 해외에서 1등급을 받은 기업은 전무했고,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이 4등급으로 가장 높았다.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삼성화재해상보험, 현대글로비스 등 8개 회사는 국제 신용평가사에서만 등급을 받아 국내 등급과 비교치가 없어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또 현대중공업,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 LG디스플레이, SK네트웍스, 현대오일뱅크, 두산중공업 등 45개 회사는 국내 신용평가사에서만 신용등급을 받아 해외 평가 이력이 없다.이 같은 신용등급 간 차이는 국내 평가사가 해당 기업의 국내 경쟁력만을 따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할 때도 모 회사의 지원 등 기업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 대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는 영향으로 보인다.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신용등급차이는 국내 기업이 해외 국채시장에서 낮게 평가되는 탓도 있지만 평가 수수료가 국내 신평사의 주 수입원이고 대기업집단의 입김이 평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용평가 시장이 자율에 맡겨져 있지만 투자자 보호를 위해 미국이 도입하고 있는 등급 감시시스템 등 최소한의 방어책이라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