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수주 순항…'700억불 간다'

5월 현재 300억달러 돌파…2010년 이후 최단기간정국 불안 태국 물관리 사업 수주 여부가 변수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건설 수주액이 5개월여 만에 300억달러를 넘어섰다.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 금액이 포함됐던 2010년을 제외하고 사실상 역대 최단기간에 거둔 성과다. 연초 쿠웨이트·이라크 등 중동 국가에서 대규모 플랜트 수주에 성공한 영향이다. 28일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설사의 해외건설 수주액(계약 기준)은 총 309억2655만6000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33% 늘어난 수치다. 해외수주액은 지난 20일 이미 300억달러를 돌파했다. 180억달러 규모의 아랍에미리트(UAE) 원전을 수주했던 2010년에 이어 두 번째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2010년은 UAE 원전 한 곳의 수주액만 200억달러에 육박하는 특수 상황이어서 사실상 올해가 역대 최단 기간 내에 300억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올해 가장 많은 해외건설 공사를 수주한 지역은 중동으로 전체 물량의 80.51%인 245억8635만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아시아가 45억2068만달러(14.62%), 중남미 11억5548만달러, 아프리카 4억8955만달러, 북미 1억1703만달러 순으로 집계됐다.국가별 수주액도 중동의 이라크가 79억8920만달러로 가장 많았다. 이어 쿠웨이트(71억5626만달러), 알제리(42억4688만달러), 사우디아라비아(2억4896만달러) 등으로 나타났다.이처럼 해외건설 수주실적이 호조를 보이는 건 지난해 밀린 중동 대형 플랜트 공사를 우리 건설사들이 대거 수주했기 때문이다. 연초 현대건설과 GS건설·SK건설·현대엔지니어링 등 4개 건설사는 60억4000만달러 규모의 이라크 카르발라 정유공장 공사를 수주했다. SK건설과 GS건설·대우건설·현대중공업·삼성엔지니어링 등 5개사는 쿠웨이트서 71억달러 규모의 청정연료 생산공장(CFP)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했다.이어 2월에도 대우인터내셔널·삼성물산·GS건설 등 국내 6개 건설사가 총 35억달러 규모의 알제리 복합화력발전소 프로젝트를 따냈다.업종별로는 대형 플랜트 수주에 힘입어 산업설비 부문이 전체의 85.99%인 265억9461만달러에 달했다. 다음은 토목 21억3124만달러, 건축 14억5342만달러 등의 순이었다.정부와 업계에선 상반기 해외수주가 순항하고 있어 올해 수주 목표치인 700억달러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건협 관계자는 "통상 연말에 산유국들의 발주가 몰리고 총 공사금액이 140억달러에 이르는 쿠웨이트 정유공장(NRP) 등 발주 예정 물량을 감안하면 목표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그러나 태국의 정국 불안으로 한국수자원공사 등 우리 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약 61억달러 규모의 통합 물관리 사업 수주가 불투명해지면서 수주 목표 달성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국토부 관계자는 "태국 통합 물관리 사업은 변동성이 커 올해 수주가 쉽지 않은 것으로 전제하고 다른 대안들을 마련하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중동·아시아·남미 등 정부 차원의 수주지원 노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