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 꼴찌’ 불명예 인천… ‘사전투표제’ 효과볼까?

토박이보다 유입인구 많고 송도·청라 등 ‘베드타운’화 영향… 6·4 지방선거때 60% 이상 기대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74% 전국 14위,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51.4%,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44.3% 전국 꼴찌. 인천시의 역대 선거 투표율이다. 불명예스럽게도 인천시는 2000년 이후 2012년 4월 치러진 총선까지 모두 9차례 선거에서 평균 투표율이 51.7%로 전국 평균(56.7%)에 밑돌았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8위,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13위를 한 것을 제외한 모든 선거에서 투표율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오는 6·4 지방선거에서 인천은 또다시 심판대에 올랐다. 역대 지방선거는 총 5차례 치러진 동안 5회때 전국 13위를 하고 1~4회때 모두 꼴찌를 차지하는 등 투표율이 저조하다. 3회 지방선거땐 투표율이 역대 최하위인 39.3%를 기록했을 정도다.이처럼 지방선거 투표율이 특히 낮은 인천이 이번 선거에서도 역대 최저 투표율의 오명을 이어갈 것인지, 아니면 최소 전국 평균 수준이라도 근접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인천시선관위는 이번 선거 투표율이 2010년 제5회 지방선거(투표율 50.9%)때 보다 높은 60% 이상이 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이번 선거에 새로 도입된 ‘사전투표제’(5월30~31일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분증만 있으면 투표 가능)의 효과를 기대하는 이유에서다. 유동인구가 많고 서울, 경기도 등지로의 출퇴근시간이 많이 걸리는 지역 특성상 전국 어느 곳에서든 투표를 할 수 있는 사전투표제가 실제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그렇다면 인천의 투표율이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우선 토박이 인구 보다 유입인구가 많은 지역적 특성을 꼽을 수 있다. 인천은 전체 인구 중 토박이 비율이 충청과 호남에 이어 세번 째인 15~20%에 불과할 정도로 지역 정체성이 약하다.이 때문에 ‘내 고장 발전을 위해 참일꾼을 뽑아야한다’는 애향심이나 절박함이 부족하고 지역의 거물· 유력 정치인도 없어 선거에 대한 흥미가 떨어질 수 밖다는 지적이다. 또 청라·송도 등 대규모 도시개발로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수도권의 ‘베드타운’ 역할을 한 점도 투표율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집은 인천에 두고 있으나 직장생활이나 실제 경제활동은 서울, 경기도에서 이뤄지다 보니 인천에 대한 관심도가 자연스레 떨어지고 이것이 투표로도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타 시·도에 비해 영세 중세업체와 비정규직 비율이 높은데 반해 근로자 투표권 보장이 쉽지 않은 점도 꼽을 수 있다.기업주가 출근시간을 늦춰주는 등 투표를 위해 필요한 시간을 보장하도록 돼 있지만 아직은 산업현장에 정착이 안돼 있다. 이 때문에 노동계에서는 비정규직 등 정치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계층의 참정권 보장을 위해 선거일 유급휴일 지정과 투표시간 연장을 법제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공석환 정의당 인천시당 정책국장은 “서울로 학교나 직장을 다니는 인천 거주인들이 많은 점을 고려하고 더 크게는 유권자의 선거권 보장을 위해 투표시간 연장과 같은 선거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그런데도 이번 선거에선 ‘기초의원 공천제’라는 큰 이슈에 묻혀 투표권 보장 문제가 의제화되지 못한 게 아쉽다”고 지적했다.하지만 모호한 정체성 등 지역적 특성만으로 인천의 낮은 투표율을 단언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이준환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개인 설문조사를 해보면 오랫동안 선거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거나 투표를 한 적이 없다는 등의 ‘습관적’인 요인도 크게 작용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이같은 이유에 대해서는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인천시선관위는 이번 6·4 지방선거에서 인천의 투표율 상승을 위해 ‘소셜미디어 네트워크’를 구축, 온라인을 통한 선거정보 제공 등 홍보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유권자가 자신의 지인들에게 투표참여를 촉구하는 포토메세지를 보내는 캠페인도 펼치고 있다. 하지만 투표율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권자가 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중론이다. 투표율 탈꼴찌로 인천의 자존을 회복하고 지역의 일꾼을 뽑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꽃’이라는 투표권 행사가 ‘권리’가 아닌 ‘의무’가 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인천은 지난해 10월 송도국제도시에 ‘세계선거기관협의회’ 사무처를 유치한 도시인만큼 그 위상에 걸맞는 시민의식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