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 사요나라’..日, 4년만에 ‘디플레’ 언급 사라졌다.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일본이 장기 경기불황의 원흉으로 꼽히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과 작별을 고하고 있다.25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번 주 펴낸 월례 국가경제보고서에서 4년 만에 처음으로 ‘디플레이션’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지 않았다. 이유는 간단하다. 일본중앙은행(BOJ)가 지난 4월부터 시행한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성과를 낸 덕분이다. 27일 발표되는 일본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일 년 전보다 1% 넘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도 물가 오름세를 낙관하고 있다. 그는 전날 도쿄 게이단례 강연에서 최근 일본 경제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다며 “디플레에서 벗어날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 상반기 중 일본 물가상승률이 1%를 넘어설 것”이라며 “인플레 기대치를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CPI 숫자만 놓고 보면 일본은 이미 지난 9월부터 1%를 웃돌았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변동성이 큰 식품가격을 제외한 근원CPI를 더 눈여겨본다. 이는 아직까지 1%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BOJ가 지금까지 ‘디플레이션 종식’을 선언하지 못한 이유다. 일각에선 BOJ의 공식 물가목표인 2015년까지 2% 상승률을 도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한다. 가장 큰 걸림돌은 정부의 소비세 인상이다. 내년 4월부터 소비세율이 현행 5%에서 8%로 오르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소비세 인상을 앞두고 사재기에 나서면서 내년 1분기 물가는 급등할 수 있지만, 이후에는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면 투자자들은 일본에 투자한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BOJ가 2%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