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동산부 박미주 기자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해외 고급건축의 최강자'라는 수식어로 해외 굴지의 건축주들로부터 찬사를 받아온 쌍용건설이 또다시 생사의 기로에 섰다.채권단의 지원 속에 워크아웃을 진행하고 있던 쌍용건설은 정식 채권단에 소속되지 않은 군인공제회의 계좌 가압류 사태로 인해 최대의 위기를 맞았다. 군인공제회가 대출금 회수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인 결과다. 부실 자산운용 논란의 주역으로 지목돼온 군인공제회의 '장군'에 채권단은 11일 회의에서 어떻게 '멍군'을 부를지 관심이다.군인공제회의 '선제공격' 이유는 간명하다. 남양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 시공자로서 쌍용건설이 지급 보증한 원리금 1235억원을 시급하게 돌려받아야 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공제회는 쌍용건설의 국내 7개 사업장 계좌에 가압류 신청했다. 이러면 해당 사업장 기성금이 원활하게 들어오지 않을 경우 채권단이 신규 지원하는 자금 일부는 군인공제회로 돌아가게 된다.채권단은 이로 인해 쌍용건설 개선작업을 위한 자금지원에 부담을 갖게 된 것이다. 금융당국은 쌍용건설 사태가 급박하게 돌아가자 지난 9일 채권기관과 군인공제회를 불러 협상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소득은 없었다. 앞서 채권단은 쌍용건설 워크아웃을 위해 3200억원의 신규자금을 투입하고 2450억원을 출자전환하기도 했으나 추가 지원 부담이 커진 것이다. 군인공제회도 대출금 회수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버텼다.이제는 11일 오후 열리는 채권단 회의에 관심이 모아진다. 일단은 부정적 전망이 나온다. 법정관리로 전환할 가능성마저 제기되는 마당이어서 쌍용건설은 물론 자금을 빌려준 채권단과 군인공제회, 협력업체, 해외발주처 등 모두가 피해를 보는 모양새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익을 좇으려다 피해만 키울 수 있다는 얘기다. 해외에서 더 호평 받던 쌍용건설의 회생과 채권단, 협력업체의 '윈윈' 방안이 나올지 주목된다.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