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핵심특허기관, 한국특허정보원 대전 이전

엑스포과학공원 사이언스센터 내 2016년 말 입주…24일 오후 대전시청 중회의실서 특허청과 업무협약

대전광역시와 특허청이 한국특허센터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표재호 한국특허정보원장, 김영민 특허청장, 염홍철 대전시장, 채훈 대전마케팅공사사장, 박정렬 특허정보진흥센터 소장(왼쪽부터)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창조경제 핵심특허기관인 한국특허정보원(특허정보진흥센터)이 대전에 둥지를 튼다. 24일 특허업계에 따르면 대전시(시장 염홍철)와 특허청(청장 김영민)은 대덕특구 내 엑스포과학공원을 창조경제전진기지로 키우고 지식재산거점지구로 만들기 위해 최근 한국특허정보원의 대전이전에 합의했다.한국특허정보원의 대전입지는 특허청, 특허법원, 국제지식재산연수원에 이어 ‘사이언스센터’터에 자리 잡아 창조경제전진기지 조성의 출발점이자 핵심시설로 대덕특구 대표 랜드마크시설이 될 전망이다.대전시와 특허청은 24일 오후 4시 시청 중회의실에서 염홍철 대전시장, 김영민 특허청장, 채훈 대전마케팅공사사장, 표재호 특허정보원원장, 박정렬 특허정보진흥센터소장이 참석하는 가운데 ‘특허정보원 대전이전’을 뼈대로 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및 지식재산 거점지구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대전시와 대전마케팅공사는 엑스포과학공원 내 사이언스센터가 들어설 6600㎡(2000평)를 한국특허정보원이 20년간 돈을 내지 않고 쓰도록 하는 등 대전이전을 적극 돕는다.특허청과 특허정보원은 건축비를 부담하고 과학기술마인드 및 발명체험에 필요한 시민 활용공간 마련·운영과 신축건물 디자인·설계 등을 대전시와 협의, 사이언스센터와 연계 추진한다.특허정보원이 대전으로 오면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될 전망이다. 특허정보원 내 상주인력 1000여명을 비롯해 변리사, 유관기관, 가족 등 4000여명이 옮겨 인구유입효과가 난다. 이는 중앙부처 1곳 이전보다 더 많은 인구유입과 세수에도 크게 도움 될 것으로 대전시는 내다보고 있다.특히 변리사업이 활성화돼 지역대학 이공계 학생들의 취업(해마다 100명 이상)은 물론 정보원의 특허관련 국·내외행사 등으로 지역경제에도 보탬을 준다.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번 협약으로 대덕특구가 국정핵심과제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전진기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지식재산산업시대에 특허관련 기술사업화는 물론 지역현안인 엑스포재창조, 특허허브도시 및 창조경제전진기지 만들기를 해결하게 된다”고 말했다.김영민 특허청장은 “대덕특구가 지식재산 거점지구 조성을 위한 최적지”라며 “한국특허센터는 대덕특구와의 시너지효과를 통해 과학기술과 지식재산이 만나는 창조경제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한편 한국특허정보원은 1995년 7월 세워진 특허청 산하기관으로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있다. 근무인원 627명, 연간예산액 506억원으로 ▲특허선행기술조사사업 ▲특허정보 조사·분석서비스 제공 ▲특허관련 국내·외행사 개최 등 지식재산권 서비스업무등을 맡고 있다.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