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개입 논란, 확산 막으려 안간힘 쓰는 靑

"댓글로 당선됐냐" 朴대통령 언급 전해지자…"소설이다" 즉각 반격현안 언급 회피하며 '민생ㆍ외교' 집중하는 이미지 구축 전력[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오종탁 기자]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논란이 검찰 내분 사태까지 이어지며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지만, 청와대는 논란의 핵심을 피해가며 수세적 방어에만 치중하는 모습이다. 불씨가 박근혜 대통령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행보인데, 청와대가 나설 경우 자칫 논란이 확대 재생산될까 우려하는 기류도 분명하다. 그러나 정국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이 문제에 청와대와 박 대통령이 '제3자 화법'으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국회 3자회담 때 박 대통령의 발언을 22일 공개한 것에 청와대가 '소설'이라며 즉각 반박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23일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제가 댓글 때문에 대통령에 당선됐다는 것이냐'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는 김 대표의 말은 '소설'"이라고 말했다.

22일 국무회의에서 발언하는 박근혜 대통령(사진제공 : 청와대)

박 대통령이 그런 발언을 한 것이 사실임에도 '격앙'이란 단어 하나에 발끈한 건, 박 대통령이 "국정원 논란에 초조해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움직임은 박 대통령이 "전 정권의 일로, 이번 대선에서 도움받은 것이 없다"며 자신을 제3자로 규정지은 것의 연장선에 있다. 박 대통령이 22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국정원이나 검찰 논란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 역시 마찬가지다.그러나 이런 대응 방식이 야당 주도의 정치 쟁점화를 부추기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만만치 않다. '거리두기' 전략은 논란의 초기에 유효했지만, 검찰 수사에 현 정권이 압박을 가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지며 전혀 다른 국면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정쟁에 휘둘리지 않는 대통령"이 아닌 "쟁점에 눈감는 대통령"으로 국민에게 비쳐질 여지도 크다. 더욱이 집권 초기 외교ㆍ안보 분야 성과가 내치의 삐걱거림을 만회해준 측면이 있지만, 지금은 그런 효과도 미미해졌다. 김형준 명지대 교양학부 교수는 "정치는 타이밍인데 이를 자꾸 놓치는 부분들이 국정운영을 더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제는 단순한 침묵 단계를 넘어 이런 문제에 대해 국민들과 진솔하게 대화하면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