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말기 아버지, 작가의 체험실화에 객석이 흐느꼈다..연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

손숙, 신구 두 배우가 부부로 출연..제6회 차범석희곡상 수상작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무대 위 허름한 단층집의 평상에는 노부부가 앉아 있다. 마당 한 구석에는 노부부만큼 세월을 먹은 홍매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이들을 비추는 보름달이 하늘에 걸려 있고, 아내는 자꾸만 자신을 부르는 남편에게 와락 역정을 낸다. "내가 어디 도망갈까 봐 그라나." 시름시름 앓고 있는 남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연신 "홍매야, 홍매야" 아내를 불러댄다. 연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의 한 장면이다. 간암 말기의 남편은 급속하게 진행되는 병세에 간성혼수 증상을 겪으며 정신이 오락가락한다.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은 아버지를 두고 둘째아들의 심경은 복잡하다. 장남만 챙기는 아버지에 대한 서운함을 토해내는 둘째아들에게 어머니는 똑같은 레퍼토리를 읊어댄다. "너거 아버지한테는 니들이 보험이지. 니들만 생각하면 든든하고..." 아버지와 반평생을 함께한 어머니의 독백은 애잔하다. "참 이상하제. 누가 보면 저 양반하고 내가 금슬이 엄청 좋은 줄 알 거 아이가. 사람 무시하는 데 일등이고, 사람 구박하는 데 일등이고. 지겹고 온갖 정 다 떨어진지 언젠데. 그런데 이상하제. 저 양반이 간다고 하이, 많이 불쌍하고 많이 아파. 기운이 쭉 빠지고 서러버. 저 양반이 없다고 생각하니 아들 앞에서도 기를 못 펴겠어."
연극이 끝날 때 즈음에는 객석이 울음바다가 돼 있다. 간암 말기의 아버지를 지켜보는 한 가족의 이야기가 담담하게 무대 위에 펼쳐지는데, 특별한 무대 장치나 에피소드 없이 배우들의 연기만으로도 심금을 울린다. 아버지(남편) 역을 맡은 신구와 어머니(아내) 역을 맡은 손숙이 3년 만에 한 무대에 섰다. 배우들은 그저 내 아버지 같고, 어머니 같다.  연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는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를 담았다. 김광탁 작가는 "돌아가신 아버지가 간성혼수 상태가 되셨을 때 굿을 해달라고 하시더라. 그 때 충격을 받았다. 이 작품은 거창한 담론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소박한 마음에서 시작했다. 우리 시대 많은 아버지들이 내 아버지 같은 삶을 살았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 아버지들을 위해 위로의 굿 한 판 올려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죽어가는 아버지는 그 와중에도 남겨진 아내와 아들에게 무엇인가를 주고 싶어한다. "사람 사는 거는 결국 떠나기 위해서 걸어가고 있는 것과 같다. 나도 곧 모든 것을 놓아야 할 처지에 와 있다. 작품 속 아버지는 이루지 못한 몇 가지 일들이 가시는 데 걸림돌이 됐던 것 같다. 그러니까 살아생전에 계획했던 것을 다 이루고 떠나시는 분들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삶과 죽음은 숨 한 번 들이쉬고 내뱉는 그 차이다."(신구) "산다는 게 다 죄다"라고 한숨 쉬는 어머니는 평생을 같이 산 아버지를 보며 "아직 할 말이 더 많은데"라고 읊조린다. "처음 대본을 읽고 너무 많이 울어서 어떻게 끌고 갈지 고민했다. 연극이 연극 같지 않고, 삶의 한 자락 같았다. 굉장히 실감났다. 작품을 하면서 남편을 보내는 아내의 심정, 이런 게 울컥울컥 올라오더라."(손숙)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는 제6회 차범석희곡상의 작품상 수상작이다. 당시 '자칫 무거워질 이야기를 물 흐르듯 담담하게 끌고 나가는 작가의 솜씨가 돋보인다'는 심사평을 받았다. 김철리 연출가는 "이 시대가 자꾸 거대 담론에 휩싸여서 정작 우리의 삶과 죽음에 대해서는 관념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번 작품은 두 연륜있는 배우들로 인해 살냄새를 더하게 됐다"고 말했다. 가까이, 또 멀리 있는 가족들을 돌아보게 만드는 작품이다. (10월6일까지. 흰물결아트센터 화이트홀.)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조민서 기자 summ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