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펀드 세제혜택 재도입해야'

금투협, 회사채 시장 활성화 방안 포럼 개최[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회사채 시장을 살리기 위해 해당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펀드에 대한 세제혜택을 재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2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회사채펀드 활성화와 채권시장 수요확대' 포럼에 참석한 금융투자업계 및 학계 관계자들은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회사채펀드 시장을 구조적으로 바꿔나갈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회사채펀드는 유동성을 제공하고 가계 자금을 기업으로 유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투자 비중이 너무 낮아 회사채시장 발전에 구조적인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황 연구위원은 "중소·중견기업의 자금조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회사채펀드 활성화가 시급하며 하이일드펀드 등에 대한 세제지원 및 펀드 신용평가 등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갑순 동국대 교수, 강성부 신한금융투자 팀장, 김형호 한국채권투자자문 대표, 이도윤 삼성자산운용 본부장도 패널 토론을 통해 회사채펀드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성부 신한금융투자 채권분석팀장은 신용등급에 따라 선호도가 극명하게 엇갈리는 국내 회사채 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댜. 강 연구원은 "기업 자본조달의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대출채권 유동화와 하이일드펀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갑순 동국대 교수는 하이일드시장에 대한 세제지원이 필요하다며 "분리과세 혜택을 적용하면 세후 수익률에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러한 세제지원이 효과적인 지원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세제지원을위한 입법을 이끌어내기 위해 회사채시장 활성화를 통한 경기활성화 효과와 세수증가 등의 긍정적인 면을 설득력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형호 한국채권투자자문 대표는 "중견기업 회사채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하이일드펀드 활성화가 절실한데 위험만 높고 기대수익은 미치지 못했다"며 미국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담보부사채 편입비중 확대를 대안으로 꼽았다.이혜영 기자 itsm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혜영 기자 itsm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