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한국언론학회, 대학생 설문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기업, 정부, 국민, 시민사회 등 모든 경제주체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주역이 되고, 정부는 개개인의 창의력이 발현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무엇보다 성적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제도를 탈피하는 것." 대학생들이 그린 창조경제의 모습을 종합해보면 이 같은 결론이 나온다. '창조경제'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지만 정부 출범 초기부터 그 모호성으로 인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는데, 대학생들의 말을 종합하면 모호한 창조경제의 하나의 윤곽이 그려지는 듯하다. 대학생들은 대부분 창조경제의 필요성과 국민과 정부가 함께하는 경제문화 정착의 중요성에도 동의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획일적인 교육'이 계속된다면 창조경제 실현은 어려울 것이란 판단도 곁들였다. 대학생의 48.6%는 창조경제가 산업경제, 지식경제 등 이전 경제 패러다임과 '다르다'고 답변했다. 세부적으로는 '다르다'가 38.4%, '많이 다르다'가 10.2%, '보통'이 27.5%, '다르지 않다'가 18.7%, '전혀 다르지 않다'가 5.3%로 집계됐다. '다르다'고 응답한 비율은 대학생보다는 대학원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들이 생각하는 창조경제란 무엇일까. 창조경제를 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과학기술 역량 강화(94.6%)'와 '창의성이 보상받는 환경 조성(88.7%)'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업의 역할로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도전, 창의적 사회문화 정착을 위한 노력(96.8%)'과 '대기업 중소기업 동반성장(91.8%)'이 꼽혔다. 특히 남학생은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확대와 정부의 ICT 및 과학기술 역량강화에, 여학생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민주화에 더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조경제를 가로막는 요인 1위로는 '규격화, 성적위주의 획일적 교육제도'가 40.4%로 성별 및 전공을 불문하고 가장 많은 답변을 기록했다. 중ㆍ고등학교 때까지 입시위주의 교육을 받아온 대학생들이 이에 대한 폐단을 가장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음으로는 대기업ㆍ중소기업 간 불공평(35.0%), 정치권ㆍ시민단체 등 사회 이해집단의 갈등(15.5%), 정부의 규제(8.2%), 세계 시장 환경에서의 대한민국의 역 할(0.9%) 등의 순을 보였다. 대학생들이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에 바라는 점은 '개개인의 창의력 이 발현되는 환경조성(27.4%)'과 '과학기술ㆍ산업ㆍ문화 등 각 분야의 융합발전(26.2%)'이 1ㆍ2위를 차지했다. 주로 남학생이 융합발전을, 여학생은 창의력이 발현되는 환경조성을 꼽았다. 상대적으로 경제환경에서 기회를 얻지 못한다고 느끼는 여학생들이 '환경조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얘기다. 이 밖의 답변으로는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위한 신성장 동력 창출(16.9%)', '국민의 요구를 국가 정책에 반영(9.9%)', '과학기술과 ICT의 조화로운 발전(7.8%)' 등이 있다.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주체로 기업(20.0%)과 정부(15.0%)를 꼽는 학생들이 많았다. 일반국민은 7.7%, 시민사회 4.4%, 자영업자 0.8% 등의 순을 기록했다. '모두 다'를 꼽은 학생이 52.2%로 가장 많았다. 박종민 경희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이는 정부가 대전제 차원에서 리더십을 발휘해 이끌고 가더라도, 결국 정부보다는 기업이 이 같은 문제에 더욱 중심적으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한편으로는 정부주도의 경제 변화에 대해 학생들이 전체적으로 크게 공감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대학생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창조경제'에 대해 거부감없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본인들이 피부로 느꼈던 주입식ㆍ암기식 교육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그 결과 다른 어떤 요소보다 창의적인 교육과 창의적인 환경을 중요하게 여기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조민서 기자 summe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