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매서 인기 최고 근린시설은 '주유소'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올해 전국 법원경매장에 나온 근린시설 중 낙찰가율이 가장 높은 종류는 주유소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는 근린주택,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 낙찰가율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각 지역 부동산시장 수급 상황을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29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이 전국 근린시설 중 올해 낙찰사례가 많은 8가지 용도의 물건들을 조사한 결과, 주유소 낙찰가율은 73.44%를 기록해 73.32%를 기록한 아파트 상가를 근소하게 앞섰다. 근린주택은 70.23%의 낙찰가율로 3위를 차지했지만 입찰경쟁률에서 가장 높은 3.43대 1을 기록했다.이어 창고시설 66.43%, 자동차시설(중고차매장 등) 60.67%의 낙찰가율을 각각 기록했다. 주상복합 상가물건은 42.45%의 낙찰가율로 최하위를 차지했다.하지만 각 지역에 따라 낙찰가율이 높은 물건은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근린주택,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 낙찰가율이 각각 주유소보다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수도권 소재 근린주택 낙찰가율은 72.28%를 기록, 수도권 소재 주유소 낙찰가율(67.22%, 3위)을 5%포인트 이상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창고시설 70.62%, 오피스텔 상가 62.89%, 아파트 상가 62%의 낙찰가율을 각각 기록했다.또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상가 낙찰가율이 81.47%를 기록, 1위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주유소 78.15%, 자동차시설 68.51%, 근린주택 67.74%, 창고시설 63.57% 순이었다.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최근 2~3년 간 아파트 시장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입찰자들의 물건 선정기준에 변화를 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수도권의 경우 아파트 시장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대안으로 노후 주거와 수익성을 고루 갖춘 근린주택의 인기가 놓아졌다고 전문가들은 전한다.반대로 비수도권의 경우 최근 수년 동안 아파트의 인기가 높았다. 이에 따라 아파트 주민을 대상으로 안정적 수입을 원하는 자영업자들의 임차 수요가 늘어날 것을 염두에 둔 입찰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써낸 것으로 분석된다.실제로 근린주택 낙찰가율은 2008년 1분기 67.53%, 2009년 1분기 63.34%, 2010년 1분기 66.78%를 각각 기록하는 등 60% 중반대에 머물렀다. 그러나 아파트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 2011년 이후 근린주택 낙찰가율은 꾸준히 7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근린주택과 아파트상가는 안정적 수입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입지와 주 소비층 분석을 철저히 하지 않으면 오히려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수 있다"면서 "현장 답사와 입지분석 등과 함께 선순위임차인, 유치권 등에 대한 권리분석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이민찬 기자 leem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민찬 기자 leem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