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핵실험을 예고한 지 20일째다. 하지만 북한은 핵실험 대신 장거리미사일(로켓)발사 강행의지와 전면전을 선포하며 긴장만 고조시키고 있다. 일각에서는 핵실험을 포기하거나 연장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실험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12일 군당국에 따르면 핵실험장소로 유력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지난 8일부터 인력과 장비의 활동이 식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군 당국은 인력과 장비 철수가 설명절 동안에 일시적인 것인지, 핵실험 임박을 앞두고 고도의 기만전술인지를 파악중이다. 이날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1일 평양에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회의를 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65돌(9월9일)과 조국해방전쟁승리 60돌(7월27일)을 승리자의 대축전으로 맞이할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결정서를 채택했다"며 "광명성 계열의 인공지구위성과 장거리 로켓들을 계속 발사할 데 대해 강조했다"고 전했다.북한은 앞서 핵실험을 예고한 것과는 달리 이번 정치국회의에서는 국제사회가 우려하는 제3차 핵실험과 관련된 언급은 없었다. 지난 9일에는 미국이 자신들의 '국가적 중대조치'가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3차 핵실험'이라고 지레짐작하고 있다며 핵실험을 부정하기도 했다. 그러자 북한이 대내외적으로 정치적 부담을 느껴 쉽게 핵실험을 강행하지 못하는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출범을 앞둔 박근혜 정부에 대해 '북남관계 정상화'를 거론하며 대북 정책 전환을 요구하고 나선 것을 보면 대화가 목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 포기를 판단하기에 이르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지난 1, 2차 핵실험일자를 보면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은 예고 6일 만에, 2차 핵실험(2009년 5월 25일)은 예고 26일 만에 각각 단행됐다. 시일도 남았지만 북한이 2차 핵실험을 1차 핵실험 2년7개월 만에 실시했고, 이후 4년이 다 돼가도록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고 있는 점에서 핵실험은 불가피하다고 관측된다. 또 자체적인 핵무기 소형화 등 프로그램 일정상 미루기 힘들 것이란 분석도 이런 예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는 오는 25일 전에 북한이 결단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이번 주 김정일 생일(16일), 미국 공휴일(18일) 등을 예상하고 있다"며 "이번 주가 최대 고비"라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