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학대 없는 서울 만들기'..예방센터 전 자치구로 확대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서울시가 현재 7곳 자치구에서 운영중인 아동학대예방센터를 오는 2015년까지 전 자치구로 확대한다. 시는 또 아동학대 문제예방의 허브기관으로 강남구 수서동 아동복지센터 내에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를 설치한다. 민간에서 운영중인 지역센터와 서울시가 설립한 허브센터를 통해 전국최초로 민관분리모델 방식이 적용된다.서울시는 24일 오후 2시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를 개관한다. 시는 수서동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를 종합 컨트롤타워로, 지역 아동학대예방센터를 사례관리 중심센터로 특화해 운영할 방침이다. 서울시아동학대예방센터가 아동학대 신고접수·초기 개입·현장조사·사례판정 등을 담당하고, 지역의 센터들은 가해·피해아동의 치료 및 사후관리를 담당하게 된다.현재까지는 지역 센터들이 신고부터 현장조사, 사례판정, 사후관리까지 모두 전담해야해 업무가 지나치게 과부화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시는 우선 송파구에 있는 ‘동남권아동학대예방센터’와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역할분담시스템을 시범 추진한 후 이러한 모델을 점차 전 센터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이번 조치는 지역 아동학대예방센터의 운영주체가 굿네이버스, 세이브더칠드런코리아 등 민간 기관이어서 서울시아동학대예방센터와 지역이 유기적으로 연계될수 있어, 전국 최초로 ‘공공과 민간의 분리모델’ 방식이 시도된다는 의미가 있다.시는 지역 아동학대예방센터가 사례관리 중심센터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학대피해아동 가해자 상담 및 치료·교육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상담전문가인 임상심리상담사를 센터별로 1명씩 신규 배치하고, 치료실을 보강하는 등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그동안 7개 지역 센터별로 운영돼 왔던 아동학대신고 전화번호도 서울시 전지역에서 ☎1577-1391로 일원화된다. 또 지역센터별로 진행됐던 신고의무자 교육을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가 총괄·관리토록 30여명의 전문강사 풀을 구성한다. 강사들은 아동복지시설· 어린이집 교사, 아동을 대상으로 상시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시는 또 ‘아동학대 전문법률자문단’과 ‘아동학대사례판정 위원회’를 상시적으로 꾸린다.이순덕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소장은 “서울시 아동학대예방센터 설치를 계기로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한번 아동학대로 신고 된 아동은 절대로 재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과 사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아동학대가 없는 도시 서울 만들기를 목표로 서울시 및 지역 센터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분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오진희 기자 valer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오진희 기자 valer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