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확정' 지동원, 아우크스 주전 가능성은?

[사진 = Gettyimages/멀티비츠]

[아시아경제 전성호 기자]반전의 계기다. 지동원이 독일 분데스리가 아우크스부르크 임대 이적을 확정지었다.아우크스부르크는 2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동원의 임대 이적을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지동원은 2011년 여름 선더랜드 이적 이후 약 1년 반 만에 새로운 팀에서 뛰게 됐다. 더불어 대표팀 동료이자 선배인 구자철과 호흡을 맞춘다.재도약의 발판이다. 지동원은 그간 선더랜드에서 우울한 나날을 보냈다. 고난은 자신을 영입했던 스티브 브루스 감독의 경질과 함께 시작됐다. 후임자인 마틴 오닐 감독은 지동원을 성장이 필요한 '유망주'로 치부하며 좀처럼 기회를 주지 않았다. 특히 올 시즌은 단 한 경기에도 출전시키지 않았다. 아우크스부르크 임대 이적이 지동원에게 자신의 진가를 재증명할 기회인 셈이다. 당장 베스트11 한 자리를 꿰차긴 어려워 보인다. 구자철조차 임대 첫 두 경기에선 각각 결장 혹은 교체 출전했다. 그나마 그는 사정이 나았다. 임대 직전까지 선발과 교체를 오고가며 꾸준히 그라운드에 나섰다. 구자철과 달리 지동원은 반년 넘게 1군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 경기 감각이 정상일 리 없다. 몸 상태를 끌어올리는 동시에 동료들과 손발을 맞출 시간이 필요하다. 당분간은 교체 투입이 유력하다. 다만 아우크스부르크가 공격 자원이 많지 않은 까닭에 빠른 회복을 보인다면 선발 출전 기회는 예상보다 일찍 찾아올 수 있다.첫 선발 출장은 측면에서 뛸 가능성이 높다. 아우크스부르크는 기본적으로 4-2-3-1 포메이션을 활용한다. 현재 원톱 자리는 샤샤 묄더스의 몫이다. 팀 내 최다 골인 4골을 넣으며 마르쿠스 바인지를 감독의 신임을 얻고 있다.토어스텐 외를은 시즌 초 주로 원톱으로 뛰었지만 묄더스가 활약하며 이후엔 공격형 미드필더로 나서는 빈도가 높았다. 자리는 구자철도 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동원은 선발 명단에 포함될 경우 토비아스 베르너(3골)와 함께 좌우 측면 미드필더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 = Gettyimages/멀티비츠]

이는 구자철과 팀 전체에 시너지를 가져온다. 그동안 아우크스부르크는 공격 자원 부족 탓에 구자철을 측면 자원으로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지동원이 측면에서 활약해 준다면 구자철을 본래 포지션인 공격형 미드필더 혹은 중앙 미드필더로 복귀시킬 수 있다. 둘이 대표팀에서 꾸준히 발을 맞췄다는 점도 고무적인 대목이다.아우크스부르크는 전술적 다양성도 함께 확보했다. 공격력 강화가 필요할 때 묄더스 원톱에 지동원-외를-베르너를 2선에 배치하고, 구자철을 중앙 미드필더로 내려 좀 더 많은 공격 자원을 투입할 수 있다. 반대로 강팀을 상대로는 수비형 미드필더를 한 명 더 보강하는 대신, 공격 자원들을 적절하게 조커로 활용하며 '한 방'을 노릴 수 있다. 후반기 많은 승점이 필요한 아우크스부르크로선 꽤 이상적 시나리오다. 나아가 임대 초반 입지를 잘 다진다면 지동원은 더 많은 선택지를 얻게 된다. 슈테판 로이터 아우크스부르크 단장은 "지동원은 다양한 공격 포지션을 소화하는 선수"라고 칭찬했다. 그만큼 전술적 활용폭이 큰 공격수란 얘기다. 측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 원래 포지션인 최전방 혹은 처진 공격수로 활용되는 경기도 잦을 것이다. 묄더스-지동원의 투톱 체제도 충분히 예상해볼 법한 대안이다. 지동원의 활약 여부는 아우크스부르크의 생존 가능성과도 연결된다. 새 팀이 전반기 극도로 부진했던 이유 가운데 하나가 공격력이기 때문. 17경기에서 고작 12골을 넣으며 17위(승점 9점)에 머물렀다. 그 탓에 1부리그 잔류 마지노선인 15위 볼프스부르크(승점 19)와의 격차는 상당히 벌어졌다. 16위 호펜하임(승점 12)과의 승점 차가 3점에 불과한 게 그나마 위안거리. 강등 플레이오프로 마지막 생존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후반기 대도약을 펼친다면 추격은 충분히 가능하다. 지난 시즌 구자철이 팀을 강등권에서 구해냈던 '임대의 기적'을 이젠 지동원이 재현할 차례다.전성호 기자 spree8@<ⓒ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팀 전성호 기자 spree8@ⓒ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