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기로에 선 '조력발전'의 미래

[아시아경제 노승환 기자]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아온 조력발전이 인천에서 중대 기로를 맞고 있다.완공 시 세계최대 규모가 될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이 추진 7년 만에 사실상 무산됐고, 지난 2월부터 가동된 시화 조력은 환경피해에 더해 선박 안전 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다. 두 발전소 모두 그동안 '녹색성장'의 아이콘으로 꼽혀온 대체 에너지원이었다.

인천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를 방조제로 막아 건설될 계획이던 인천만 조력발전소 조감도.

인천만 조력은 지난 9일 국토해양부가 사업자 한국수력원자력에게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 반영 신청서를 돌려보냈다. 공유수면 매립은 방조제만 17㎞에 달하는 인천만 조력 건설을 위해 거쳐야 하는 첫 단계였다. 국토부가 밝힌 반려 이유는 '발전소 건설에 따른 환경파괴 가능성과 경제성 등에 대한 객관적 검증 부족'이었다. 인천시는 물론이고 조력발전과 직ㆍ간접으로 연관된 환경부와 국방부, 농림수산산식품부, 문화재청 등은 국토부의 의견 조회에서 적극적인 반대입장을 나타냈다.한수원이 매립 기본계획 반영에 실패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국토부는 지난해 12월에도 같은 이유로 신청서를 되돌려보냈다. 이번 반려로 인천만 조력은 추진 7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 사실상 더 이상 추진이 어렵게 됐다.

지난 2월부터 가동에 들어간 시화조력발전소 전경.

경기도 안산 앞바다에 건설된 시화 조력은 뒤늦게 선박안전 우려를 낳고 있다. 바다모래 퇴적과 유속 증가문제다.사업자인 한국수자원공사는 시화 조력 건설 전 연구용역을 통해 발전소가 건설돼도 바다모래 퇴적은 연간 1㎝, 일대 유속은 2노트(1.03m/s) 정도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하지만 지난 2월 발전소 준공 후 3개월 만인 지난 5월 수심 측정 결과 3개월 만에 퇴적된 모래가 80m 높이에 이르고 주변 유속도 3.7노트(1.9m/s)로 예측보다 2배 가까이 빨랐다. 시화 조력 인근 인천 송도에 LNG 기지를 운영 중인 한국가스공사가 자체 측정한 결과다. 국회 국토해양위 문병호 의원(민주통합당)은 지난 12일 수자원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모래 퇴적속도가 빨라 LNG 운송선이 다니는 항로 수심이 기준깊이(14m)보다 급격히 낮아지고 있고 LNG 기지보다 시화 조력에 더 가깝게 조성되고 있는 인천신항(제 3항로)에서도 향후 수심확보 문제가 불거질 개연성이 높다며 정부에 대책을 촉구했다.수자원공사는 다음 달 전문업체에 맡겨 정밀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모래 퇴적과 유속 증가가 실제 시화 조력 가동에 따른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다. 국내에서 조력 발전에 따른 해양환경 변화가 조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 결과 인과관계가 확인될 경우 수자원공사는 LNG 기지 측에 항로 수심확보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인천만 조력과 시화 조력의 시설용량은 각각 1320㎿와 254㎿로 둘을 합하면 고리원자력발전소(총 3137㎿)의 절반에 가깝다. 하지만 주변 해양환경 변화에 대한 불충분한 검토로 결국 막대한 비용만 날릴 상황에 처했다.노승환 기자 todif77@<ⓒ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노승환 기자 todif77@ⓒ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