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구미 사고현장 살수, 잘 된 초동대응'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환경부가 9일 구미 피해지역 구미 불화수소산(불산) 가스 누출사고 피해지역 상황과 대책을 발표하며 오염도 조사 결과 불산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이내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사고 직후 현장에 방제 목적으로 물을 뿌리며 불거진 논란에 대해서는 "굉장히 잘 된 대응"이라며 정면 반박했다. 그러나 '늑장대응'에 대해 설득력있는 답변은 내놓지 못하는 모습이었다.

▲불산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구미시. 밭의 배추가 하얗게 시들어버렸다.[사진제공=대구환경운동연합]

◆초동대응 논란 "문제 없었다"=사고 발생 직후 현장에 투입된 소방대는 중화를 위해 물을 뿌렸다. 중화제인 소석회는 22시간이 지나서야 동원됐다. 인근 지역의 도로 등을 씻어내는 데에도 물이 동원됐다. 이 때문에 초동대응 부실 논란이 제기됐다. 불산에 오염된 물이 인근 하천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면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대구환경운동연합측은 "물과 반응한 불산이 연기까지 뿜으면서 사태를 더 심화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환경부는 "초동대응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 날 브리핑에 참석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윤혜온 책임연구원은 "불화수소가스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크기 때문에 살수를 한 것은 적절한 대처"라고 밝혔다. 윤 연구원은 "알루미늄이나 철, 칼슘 등의 토양성분은 불화수소와 즉각 반응해 불용성 침전물을 만든다"고 설명했다. 불화수소가 기체로 확산되는 대신 물에 용해돼 흙 위로 흐르면서 침전되도록 유도했다는 것. 기체 확산을 막는 것이 가장 시급했던 만큼 대처는 문제가 없었다는 시각이다. 윤 연구원은 이로 인한 토양오염에 대해 "지난 2일 측정 결과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구미시의 토양측정자료 수치보다 높지 않았다"며 "지속적으로 토양 중 불소 농도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는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하수 오염에 대해서도 "과거 오염사례를 살펴봤을 때 대부분의 오염이 토양 표층 이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장 이상적인 것은 소석회를 공중에서 살포하는 동시에 물을 뿌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 자체방재계획은 불화수소 누출 시 살수와 석회 살포를 병행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설명 안 되는 '늑장'=환경부는 피해지역 오염 염려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으나 여전히 의문은 남아있다. 대기 중 불산농도는 아직도 정밀측정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환경부가 제시하는 자료는 사고 다음날인 28일과 지난 6일 실시한 측정 결과다. 28일에는 오전 9시 30분 1ppm이 검출됐고 오후에 실시한 검사에서는 미검출됐다. 6일 사고지점과 주거지역 7개 지점에서 실시한 검사 결과 역시 모두 미검출이다. 그러나 해당 검사는 모두 간이측정기(검지관)으로 실시됐다. 검지관의 검출한도치는 0.17ppm으로 그 이하는 측정되지 않는다. 정회석 환경보건정책관은 “대기 불산농도 정밀측정에는 48시간에서 72시간이 걸린다”며” 오염여부를 즉시 알아보기 위해 간이측정기를 사용했다”고 말했다. 정밀측정은 7일부터 실시됐다. 사고 11일이 지나서야 정밀 측정에 들어간 것이다. 사고 다음날 심각단계 경보를 일찍 해제한 것에 대해서도 설득력있는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맨 처음 ‘경계’ 경보를 내린 대구지방환경청은 당일 밤 9시 30분 심각 단계로 경보를 상향했으나 다음달 새벽 3시 30분경 경보 해제 공문을 발송했다. 환경과학원에서 가스농도 측정을 마무리하기도 전이었다. 정 정책관은 “(사고 당일)밤 11시 30분정도 가스 누출 밸브를 닫고 난 뒤 방재작업 피로 때문에 새벽 3시쯤 소방관과 작업 참여자들이 대부분 귀가했다”며 “현장에 사람들이 거의 없고 농도도 낮아진 것으로 판단해 심각단계 경보를 해제했다”고 답했다. ◆"주민들 극도의 불안상태"=가장 큰 관심이 쏠리는 것은 주민들의 건강이다. 주민건강영향조사단 발표에 따르면 8일까지 병원을 찾은 환자는 모두 4195명이다. 이 중 7명은 인후통과 복통, 발진 등을 호소하는 입원 환자다. 우극현 건강영향조사단장은 "지금까지 기록된 800여건의 병원 검진자료를 분석중"이라며 "불산 노출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소변이나 손톱을 채취해 생체노출지표 검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생체노출지표 검사는 주민동의를 거쳐 이르면 11일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조사단은 초기 조사를 마친 뒤 1개월 안으로 정밀검사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우 단장은 "현재 조사 예정 인원은 1500명이나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애초 조사단은 사고지점 반경 1.5km 이내 주민과 산업체 근로자 1500명을 조사 대상으로 잡았으나 지나치게 적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6개월로 예정됐던 추적조사 기간도 2년으로 연장된다. 우 단장은 “미국 텍사스주에서 유사 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2년간 추적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1987년 미국 텍사스주 정유공장에서는 실수로 18톤의 불산이 누출되면서 990여명이 응급실을 찾았고 95명이 입원했다. 정밀조사에는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 진단도 포함된다. 우 단장은 “사망자가 발생했고 농작물들이 하루아침에 말라죽는 상황을 본 주민들이 극도의 불안상태에 빠져 있다”며 “충격이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수진 기자 sjkim@<ⓒ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김수진 기자 sjki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