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전세임대 인기 실감.. 95% 입주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대학생 전세임대주택 계약자 95%가 입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생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가 안착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LH에 따르면 8월 말까지 1만명의 대학생들이 대학생임대주택의 입주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초 계획한 목표치를 달성하게 되는 셈이다.대학생 전세임대주택은 저소득가구 대학생의 주거안정을 위해 지난해 도입된 제도다. 입주대상자로 선정된 학생이 학교 인근에 거주할 주택을 물색하면 LH에서 주택소유자와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주변 시세의 절반 수준으로 재임대하는 주택을 말한다.LH는 지난해 9월 처음 도입한 대학생 전세임대를 올해 1만가구로 확대하고 입주 대상자 모집도 신학기 개강 이전에 입주할 수 있도록 공급 일정을 앞당겼다. 또 대상지역도 종전에는 수도권 및 5대 광역시로 한정했지만 올해는 8개 광역자치단체를 추가, 전국으로 확대했다.입주부담금도 종전에는 전세지원 한도액의 5%를 보증금으로 부담토록 하던 것을 입주 순위에 따라 조정(1순위 100만원, 2순위 200만원)해 학생부담을 완화했다. 입주기간은 종전 1회에 한해 2년간 거주하던 것에서 최초 2년 재계약 2회로 최장 6년간 거주를 할 수 있게 했다. 또 정식 재학기간보다 2년을 연장한 최대 6년간 거주를 보장함으로써 졸업 후 구직기간에도 주거의 필요가 있는 학생들에게 거주공간을 확보해줬다.입주자격은 지난해보다 완화해 일반가구 대학생도 포함시켰으며, 주택유형에 오피스텔도 지원대상에 들어간다. 아울러 전세주택에 한정된 지원방식도 보증부월세 주택 등 부분전세도 허용된다.LH는 입주대상학생들이 주택을 쉽게 물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학생 전세임대주택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택 기준도 부채비율 80% 이하에서 90%까지 완화해 범위도 넓혔다. 또 대부분의 대학가 주변 집주인들이 공사와의 계약 기피 사유인 선순위 임차보증금 확인서를 중개업자가 작성하는 확인설명서로 대체했다. LH홈페이지에 대학생 및 중개업자, 임대인들이 직접 물건을 등록할 수 있도록 전용창구도 개설했다.LH 관계자는 "개강전후 입주를 희망하는 학생의 대다수가 계약, 입주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주거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했다"며 "아직 주택을 구하지 못한 학생에 대한 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진희정 기자 hj_j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진희정 기자 hj_j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