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전성호 기자]흔히 올림픽이 개최국에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안겨준다 생각하기 쉽다. 국가 브랜드 재고뿐 아니라 사회 기반 시설 구축, 관광객 증가, 각종 자금 유입 등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실상은 반대다. 1984년 이후 7차례 올림픽에서 흑자를 기록한 대회는 1996 애틀란타 올림픽이 유일하다. 하나 같이 '올림픽 이후 경기침체'(Post-Olympic Economy Depression) 현상을 겪었다. 막대한 개최 비용에 비해 경제 창출 효과는 기대 이하였던 탓이다. 처음엔 자금이 모이면서 경기가 활황을 타는 듯하나 정작 대회가 끝나면 정부는 재정 부담에, 시장은 불황에 시달렸다. 한국만 해도 서울올림픽 이후 주식과 부동산이 급락했고 경제 성장률은 반 토막이 났었다. 그리스 경제 위기 역시 2004 아테네 올림픽 개최와 무관하지 않았다. 영국 정부가 대회 준비 단계부터 지갑 단속에 신경을 쓴 이유다. 올림픽 공원 및 주경기장을 쓰레기 매립지 위에 세웠고, 농구장은 텐트식 가건물로 지었다. 몇몇 종목은 아예 신축 건물 대신 기존 관광 명소를 경기장으로 개조해 치를 정도다. 이러한 노력에도 개최 비용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당초 예상했던 50억 달러(약 5조 7000억 원)를 훌쩍 넘어 현재는 150억 달러(약 1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회를 앞두고 테러 등의 위험이 커지면서 보안 및 치안 비용이 크게 증가한 결과다. 가뜩이나 높은 실업률에 더블딥(이중침체) 현상까지 보이는 자국 경제 상황에 영국 정부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영국 BBC는 "올림픽의 하이라이트는 육상 100m나 마라톤이 아닌 대회의 손익계산서가 될 것"이라 비꼬기도 했다. 런던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축제가 아닌, 유럽 및 세계 경제의 앞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변곡점인 셈이다.전성호 기자 spree8@<ⓒ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골프팀 전성호 기자 spree8@ⓒ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