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해지는 와인, 고객의 지갑을 여는 법

성백환레뱅드매일 대표이사 사장前 매일유업㈜ 전무 최근 국내 주류 업계 중 이슈가 많은 분야는 바로 수입 와인 업계가 아닐까 싶다.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으로 작년 7월부터 발효된 한·EU FTA, 올해 한·미 FTA 등 주요 경제 주체와의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와인에 부과되는 세금 및 판매 가격이 도마 위에 올랐고, 동시에 수입 와인의 유통 구조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도 분분했다. 또한, 최근 몇 년 전부터 언급되기 시작했던 수입 와인에 대한 인터넷 판매 허용 논란이 청와대의 직접적인 지시로 마무리되는가 싶더니 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최근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한 병의 와인이 생산돼 국내 소비자의 손에 들어오기까지 많은 손을 거치게 된다. 생산자와 운송사를 통해 국내에 도착한 와인은 관계 기관을 통해 통관 절차를 거쳐 수입사의 창고에 도착한다. 수입사가 전국의 모든 판매처에 일일이 영업 하고 납품 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형 할인점이나 백화점, 패밀리 레스토랑 등 대형 거래처 외에는 전문 도매상을 통해 와인을 판매한다. 물론 각 단계에서의 세금 및 마진 구조, 이익 관계 등이 복잡하게 얽혀 와인의 가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혹자는 복잡한 유통 구조 때문에 국내 와인의 가격이 비싼 것이 아닌지 반문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입사 입장에서는 높은 세율 및 원가를 높이는 검역 구조 등이 가장 애로점으로 느껴진다. 물론 맥주가 와인에 비해 세율이 높지 않으냐는 반문을 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종량세가 아닌 종가세율을 적용하기 때문에 맥주에 비해 단가가 비교적 높은 와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일본은 우리와는 달리 종량세 방법을 적용하고, 홍콩은 무관세이므로 같은 와인이라도 판매하는 국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 우리나라는 정상적으로 수입된 와인은 수입사 마진을 책정하기 전에 이미 수입 시 책정되는 세금만으로도 이미 미국이나 유럽의 소매점 와인 가격에 따르는 가격이 된다. 그러나 각국의 세금 체계는 국가 정책마다 다른 것이기 때문에 수입사 입장에서는 그에 맞춰 가격정책, 마케팅 및 영업 전략을 가지고 사업에 임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모든 제품이 그렇듯 와인 소비층도 프로와 아마추어가 공존해 양극화를 띤다. 수입 업체 입장에서는 와인의 저변 확대를 이끌어주는 와인에서부터 전문가 수준에 이르는 다양한 소비층에 맞는 상품을 선보이고, 또한 이들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하는 방법론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해야 한다. 한국인 1인당 와인 소비량은 약 0.8리터로 미국이나 프랑스 등 와인대국의 10분의 1정도에 불과하다. 소비량은 아직 미미하지만, 한국인들의 음주 패턴이나 라이프스타일을 봤을 때 향후 한국 와인 시장은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계속되는 극심한 경기 불황도 와인 문화를 바꿔 놓은 요인 중 하나다. 값비싸고 오래된 와인이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편견이 서서히 걷히고 와인 소비자가 합리적·이성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와인 초기 시장에는 소위 진열장용 와인, 즉 소비자가 10만원대 이상의 보르도 특등급 와인이나 희귀 와인의 매출 비중이 높았으나 올 상반기 매출 추이를 보면 칠레의 유기농 라포스톨 와인, 이태리의 요리오 와인 등 평균 소비자가격 3~4만원대의 와인이 전년 대비 각각 480%, 50% 신장했다. 점점 스마트해지는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고 지갑을 열게 하기 위해서는 수입사뿐 아니라 레스토랑의 소믈리에나 전문 숍의 매니저, 대형 할인점 및 백화점 등 각 유통 단계의 모두가 함께 협업하고 각자의 자리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본다.이코노믹 리뷰 전희진 기자 hsmile@<ⓒ 이코노믹 리뷰(er.asiae.co.kr) - 리더를 위한 고품격 시사경제주간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간국 전희진 기자 hsmil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