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장관의 '취임 1년' 성적표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취임 당시 4.2%였던 소비자물가는 2.5%로 둔화됐고 지난 1년 동안 월 평균 44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됐습니다. 신용등급 전망이 상향 조정되는 기쁜 일도 있었죠. 하지만 서민들의 체감 경기 개선 효과가 노력에 비해 빠르게 나타나지 않아 송구스럽습니다."내달 2일로 취임 1주년을 맞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의 소감이다. 박 장관은 31일 '취임 1년 소회와 각오'를 통해 "지난 365일, 하루하루를 마지막 이닝이라고 생각하면서 숨 가쁘게 달려왔다"며 이 같이 밝혔다.박 장관은 이어 "결승선을 앞 둔 마라토너의 마음가짐으로 남은 힘을 모두 쏟아 부어 민생을 챙기겠다"면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서민생활 안정과 일하는 복지, 맞춤형 복지를 강화하고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박 장관의 지난 1년 성과는 '물가 안정과 일자리 창출'로 요약된다. 취임 초 4%를 상회하던 물가상승률은 최근 2% 중반대로 둔화했고 지난 2002년 이후 처음으로 7개월 연속 40만명 이상 취업자가 증가했다. 지난 1ㆍ4분기에는 저소득층 소득이 빠르게 증가했으며 소득 5분위 배율은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분배 지표도 개선됐다.경제 운영 성적은 "무난했다"는 평이다. 거시정책협의회를 만들어 위기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상황별 대응 방안(컨티전시 플랜)을 지속 보완했다. 또 재정을 조기 집행(1분기 32.3% 집행)하고 투자 활성화 대책 등 정책 미세 조정(파인 튜닝)을 통해 상반기 어려운 경기 흐름을 보완했다는 데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세계 경제 둔화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무역 1조달러를 최초로 달성했으며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등 경제 영토도 넓혔다. 또 한-일ㆍ한-중 통화스와프 체결 및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등을 통해 역내 안전망을 구축, 금융시장 위기를 예방했다. 유로존 위기 대응 관련 IMF 재원 확충 논의 시 4000억달러 이상을 달성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는 평이다.향후 중점을 둘 과제로는 ▲경제 체질 강화 ▲서민생활 안정 ▲미래 성장동력 확충 등이 꼽힌다. 지난 1년 동안의 성과로는 미미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박 장관은 대ㆍ내외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상황별 대응 방안 재점검, 유관기관 간 유기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가계ㆍ기업ㆍ정부 부문의 취약 요인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또 물가와 고용 등 지표 경기 개선에도 서민들이 느끼는 경기 여건을 여전히 어렵다는 판단 아래 국민과 소통하면서 가격 정보 공개 확대, 경쟁 촉진, 유통 구조 개선 등 시장친화적 방식을 통해 물가 안정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의료ㆍ관광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육성해 내수를 확대하고 신성장동력 기술을 조기에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저출산ㆍ고령화, 기후 변화 등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중장기 구조적 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해법을 모색하고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김혜원 기자 kimhy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혜원 기자 kimhy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