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올리자' 회사채 출혈경쟁 여전

증권사 발행시장 참여위해 경쟁...당국 실태조사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지난달 28일 발행된 2400억원 규모의 서울메트로 회사채 낙찰금리는 4.05%. 하지만 이를 인수한 11개 증권사들의 매출금리(증권사들이 기관투자자들에게 다시 넘기는 금리)는 4.05~4.14% 수준이었다.수수료가 0.2%포인트, 만기가 3년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일부 증권사는 원가(4.11%)보다 헐값에 팔아 손해를 봤다는 의미다. 한 채권평가사 관계자는 “전체의 30% 이상이 (본전 또는 손실을 보게되는) 4.11~4.14%의 금리로 낙찰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증권사가 발행시장에서 비싼 값(저금리)에 회사채를 인수한 뒤 자신의 수수료 수입까지 포기해가며 헐값(고금리)에 되파는 이른바 ‘수수료 녹이기’ 관행이 여전하다.증권사들은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회사채 발행시장 참여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하소연한다. 실적을 쌓아놔야 다른 인수전에도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보다는 가격으로 경쟁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런 저가 출혈경쟁이 낳는 부작용이 적지 않다. 원가도 못 건지는 사업이다보니 발행사의 기업가치와 위험을 분석하고 실사하는 주관사 본연의 역할에 소홀해질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이 경우 불량 회사채 유통으로 인한 대규모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구조적인 잠재위험이 있다보니 시장은 자연스레 우량등급 회사채로만 쏠리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자금 조달이 제한되고, 투자자들은 양질의 고금리 채권 투자기회를 잃게 된다.한 증권사 채권담당 임원은 “서울메트로 회사채의 경우 전부다 수수료를 녹였다고 볼 수 없지만 손해를 보고 판 곳도 있다는 게 문제”라면서 “4.14%에 회사채를 인수한 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나중에 어떤 기관이 제값에 회사채를 인수하려 하겠나. 상대적으로 비싼 4.05%에 서울메트로 회사채를 인수한 기관 담당자는 무능하다고 찍히게 됐다”고 개탄했다. 한 두 증권사의 출혈경쟁만으로도 시장 전체가 혼탁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금융당국은 이런 상황을 개선하고자 조사단을 꾸려 내년 4월까지 실태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회사채 인수업무 전반에 대한 최근 2~3년치의 자료를 받아 검토한 뒤 실태점검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정재우 기자 jjw@<ⓒ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정재우 기자 jjw@ⓒ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