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금융지배력 커졌다

4대 지주 중 3곳 최대주주로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국민연금이 국내 4대 금융지주 중 3곳의 최대주주로 올라서 그 영향력이 커질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KB금융은 10일 최대주주가 기존 네덜란드 ING은행(5.02%)에서 국민연금(6.12%)으로 바뀌었다고 공시했다. 이날 신한금융도 프랑스 BNP파리바(6.35%)에서 국민연금(7.09%)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금융감독원에 신고했다. 국민연금이 이들 금융지주 지분을 추가로 사들이면서 최대주주가 된 것이다. 앞서 국민연금은 지난 4월 하나금융 최대주주였던 골드만삭스가 지분을 일부 매각하면서 최대주주에 올랐다. 올 6월 말 현재 8.33% 지분을 보유 중이다.국민연금은 우리금융 지분도 4.6%가량 보유해 예금보험공사(56.97%)에 이어 2대주주다. 이처럼 국민연금이 4대 금융지주에 대한 지분율을 높이면서 금융권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 관계자는 "특별한 의도를 갖고 지분을 늘린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근 주가 하락으로 저가 매수에 나서다 보니 자연히 지분율이 올랐다는 설명이다.하지만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의 행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주주권 강화 움직임이 이미 오래 전부터 감지돼왔기 때문이다. 지난 4월에는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이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관치금융'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기업들은 정부가 국민연금을 통해 기업 경영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반면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는 정당한 권리이자 의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의 경영 투명성 제고를 위해 국민연금의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서야 한다는 데 대체로 동의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 자체의 지배구조가 투명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국민연금이 정부의 '앞잡이'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금융권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주주권 강화로 인해 기업 경영의 자율성 훼손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국민연금에 정부의 입김이 개입될 여지가 크다는 점도 문제"라고 말했다.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박민규 기자 yushin@<ⓒ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