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이 입에 주목하라
[아시아경제 이솔 기자]8월 코스피는 미국 경기침체와 유럽 국가들의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며 11.86% 폭락했다. 투자심리가 다소 안정되고 있는 듯하지만 9월 주식시장이 기술적 반등을 뛰어넘어 본격 반등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장을 뒤흔들 수 있는 정치·경제 이벤트들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9월 주식시장의 분수령이 될 수 있는 주요 이벤트들을 정리해봤다.◆오바마 美 대통령 대국민연설(7일)= 9월 글로벌 주식시장의 변곡점이 될 첫 번째 이벤트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대국민연설이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9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추가 경기부양책을 논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3차 양적완화(QE3)와 같은 선물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오바마 대통령은 존 베이너 하원의장에게 오는 7일 오후 8시(현지시각) 의회 연설을 요청하면서 "의회가 즉시 수용할 수 있는 초당적 제안들을 내놓으려고 한다"며 재정 적자를 줄이면서도 중소기업 강화, 일자리 창출, 서민 소득 증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상재 현대증권 경제분석부장은 "오바마의 경기부양책 발표는 21일 미국 연준의 추가 금융완화대책과 더불어 9월 장세를 지지하는 요인임에는 분명하다"며 "하지만 연 방정부 부채한도 협상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민주-공화 양당이 경기부양안에 타협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진단했다.◆유로존의 그리스 구제금융 지급예정일(15일)=EU와 IMF가 그리스 구제금융 지원금을 예정대로 지급, 그리스 재정위기에 대한 우려를 잠재울 수 있을지도 변수다. 최근 그리스 구제금융을 둘러싸고 유럽 각국의 갈등이 표출됐기 때문이다. 핀란드가 그리스 구제금융에 참여하면서 담보 제공을 요구했고 이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불만이 높아진 것. 때문에 안정을 찾았던 그리스 국채 수익률과 CDS프리미엄도 다시 치솟았다.김학균 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최근 상황을 보며 유럽 국가들의 원활한 공조에 대해 낙관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핀란드가 그리스 지원에 대한 대가로 담보를 요구하면서 역내 국가들의 분열이 노출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리스 구제금융을 둘러싼 갈등은 9월에 집중되어 있는 주요 국가들의 국채 만기와 맞물려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등 주요 선진국 의 국채 만기가 9월에 집중되어 있어서다.오재열 IBK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이들 국가의 만기 도래 국채 환매가 원활하다면 큰 문제가 없겠지만 만기가 집중되어 있다는 그 자체가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며 "유럽계 자금은 특히 남유럽(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국가들의 국채 만기에 민감하다"고 분석했다. ◆독일 지방선거(18일)= 독일은 4일과 18일 지방선거를 치른다. 이 지방선거가 메르켈 독일 총리의 유럽 재정위기 안정을 위한 결단을 이끌어 낼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올 2~5월 있었던 5개 주의회 선거에서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기독교 민주당의 지지율이 추락, 그가 유로존 안정을 위한 결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았던 탓이다.김정훈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시장에서는 독일이 유럽안정기금(EFSF) 증액이나 유로본드 발행 문제에 적극 개입해주기를 기대했지만 메르켈 총리는 국내 여론에 밀려 손을 쓰지 못했다"며 "독일이 나서지 않으면 유로존은 해결책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했다.◆9월 FOMC(20~21일)=8월26일 잭슨홀 연례연설에서 버냉키 미국 연준 의장은 9월 FOMC를 예정 보다 하루 더 열고 경기부양책에 대해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 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FOMC에 대한 기대치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서동필 하나대투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지금은 물가지표가 이미 3%를 넘은 상황이기 때문에 자금을 시중에 푸는 것에 대한 부작용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1~2차 양적완화 정책이 나왔던 시기에는 경기침체와 디플레이션(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우려가 팽배했기 때문에 연준이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다양했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돈을 풀어 자산가격을 끌어 올리고 이를 통해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게 양적완화 정책인데 디플레이션 우려가 없는 상황에서 돈을 풀게 되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만 부추기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솔 기자 pinetree19@<ⓒ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이솔 기자 pinetree19@ⓒ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