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만의 부동산돋보기]오세훈 이후 서울 부동산 시장은?

'재건축과 각종 개발사업 중단되거나 늦춰질 가능성 높아'

김인만 Good Members 대표

8월24일 실시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참여결과가 25.7%로 33.3%에 못 미쳤다. 사퇴를 약속했던 오세훈 서울시장도 벼랑 끝에 몰리게 됐다.내년에 총선과 대선이 있는 상황에서 오 시장은 가능성은 낮지만 그래도 대권후보 중 한 명이다. 이에 대한 견제와 정치 역학 구도 상 이번 투표는 단순히 무상급식의 의견을 묻는 주민투표의 의미를 넘어섰다. 투표참여는 보수, 투표불참은 진보라는 이상한 대립관계가 형성이 돼 버린 것이다. 여기에 오시장은 자기의 시장직을 걸면서 승부수를 던졌지만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그럼 오 시장은 왜 이런 무리한 승부수를 던진 것일까? 오 시장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한번 해볼 만한 승부수였고, 최악의 경우 서울시장 직을 물러난다 해도 오 시장 자신은 크게 손해 보지 않는 게임이었다.잠재적 대선후보로서 뭔가 성과를 내야하고 한강르네상스 등 자신의 개발사업을 마무리하면서 일 잘하는 이미지도 심어줘야 한다. 그러나 재선에는 성공했지만 의회를 야당이 장악하면서 견제가 시작됐다. 사실상 손발이 묶인 상황이다 보니 오 시장 입장에서는 서울시장 자리만 유지하는 식물시장자리에 만족할 수 없었을 것이다.그래서 야당의 대표 복지아이콘인 무상급식으로 돌파구를 찾으려고 했을 것이다. 만약 이번 승부가 통했다면 서울시 지지기반을 다시 확인하고 승부사 이미지와 보수를 대표하는 이미지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겠지만 결과는 그러지 못했다. 어차피 이번 대선불참을 선언한 상태에서 보수를 대변하는 강한 이미지는 남겼기에 당장이야 패장이 됐지만 장기적으로는 결코 손해 본 장사는 아니었다. 오히려 여당이 이번 패배의 가장 큰 피해자가 돼버렸다. 서울시장 선거를 다시 하면 현재 분위기상 야당이 유리하다. 때문에 자칫 내년 총선, 대선을 야당 서울시장을 두고 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 돼 버렸다.오시장의 사퇴 이후 서울 부동산시장은 어떻게 될까?공식 사퇴발표와 재보선 일정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사퇴 후 재보선 전까지 업무공백은 불가피하다. 서울의 재건축과 각종 개발사업도 중단되거나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이렇게 되면 강남권 재건축의 사업추진속도는 더 늦어지게 된다. 한강르네상스와 정비구역 역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사실상 물 건너갔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너무 걱정만 할 필요는 없다. 어차피 의회를 야당이 잡고 견제가 들어가면서 오시장이 힘을 쓸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계속 시장 직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한강르네상스, 정비구역사업이 빠른 속도를 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재보선 일정과 차기 시장이 누가 되느냐가 중요하다. 빨리 차기 시장을 선출하면 업무공백을 줄일 수 있고 다른 새로운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정치논리에 휘말려 업무공백이 길어지게 되면 불확실성 증가와 사업지연에 따른 불이익은 불 보듯 뻔하다. 서울 부동산시장도 혼란을 겪을 것이다.만약 여당이 다시 차기 시장을 차지한다면 큰 변화보다는 현재의 방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마무리를 하는데 힘을 쏟을 것이다. 부동산시장도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다.하지만 야당이 차기 시장을 차지하면 현재 오시장이 추진하던 한강르네상스, 정비구역 사업은 전면 취소 또는 변경이 될 것이다. 개발보다는 복지에 치중을 하게 되면 서울 부동산시장은 탄력을 잃게 된다. 만약 새로운 개발사업이 등장한다면 또 다른 새로운 기회가 생길 수도 있다.내년 2012년은 총선과 대선이 있는 해다. 대선 전초전 성격을 지닌 서울시장 자리를 두고 여당과 야당의 큰 한판은 불가피하며 사활을 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정책적으로는 개발과 복지 두 가지 아이콘이 충돌할 가능성이 높지만 여당이든 야당이든 개발과 복지 모두 놓칠 수 없는 핵심 과제기 때문에 복지뿐만 아니라 새로운 개발사업에 대한 공약이 나올 경우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거기에 맞는 적절한 전략도 세워야 하기에 차기 서울시장 재보선을 바라보는 눈이 뜨거울 수밖에 없다.
김인만 Good Members 대표 (김인만 부동산연구소(//cafe.naver.com/atou1) 대표·부동산부테크연구소, R&F Research, (주)조인스 자문위원)김인만 굿멤버스 대표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인만 굿멤버스 대표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